2025.03.18 (화)

  • 흐림동두천 -1.3℃
  • 구름조금강릉 -0.1℃
  • 서울 0.4℃
  • 흐림대전 0.1℃
  • 맑음대구 2.6℃
  • 구름많음울산 0.6℃
  • 광주 1.6℃
  • 흐림부산 2.8℃
  • 흐림고창 -0.6℃
  • 흐림제주 5.6℃
  • 흐림강화 -0.5℃
  • 구름많음보은 0.1℃
  • 구름많음금산 -0.1℃
  • 맑음강진군 2.4℃
  • 구름조금경주시 0.4℃
  • 구름많음거제 3.5℃
기상청 제공

[날씨] 눈비 동반한 칼바람에 기온 뚝…꽃샘추위 계속

[날씨] 눈비 동반한 칼바람에 기온 뚝…꽃샘추위 계속

우리신문 신승관 기자 | 화요일인 18일은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이 0도까지 내려가는 등 꽃샘추위가 이어지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3∼3도, 낮 최고기온은 3∼9도로 예보됐다. 곳곳에 바람이 강하게 불면서 체감온도는 더욱 낮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기상청은 당부했다. 전국은 대체로 흐리고 비 또는 눈이 내리겠다. 강원산지·동해안에는 시간당 3∼5㎝의 매우 강한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도 시간당 1∼3㎝의 강한 눈이 오는 곳이 있겠다. 예상 적설량은 강원 동해안·산지 10∼30㎝(많은 곳 40㎝ 이상), 경북 북동 산지·북부 동해안·울릉도·독도 10∼20㎝, 강원 내륙 5∼15㎝, 수도권(많은 곳 15㎝ 이상), 경북 북부 내륙·남부 동해안 5∼10㎝, 충청권(남부 서해안 제외), 전북 동부(많은 곳 15㎝ 이상) 3∼10㎝, 전남 동부 내륙, 대구·경북 남부 내륙·울산·경남 서부 내륙(많은 곳 10㎝ 이상), 제주도 산지 3∼8㎝, 충남 남부 서해안, 광주·전남(동부 내륙 제외)·전북 서부, 부산·경남 중·동부내륙 1∼5㎝, 경남 남해안, 제주도 중산간 1㎝ 내외다. 예상 강수량은 강원 동해안·산지 10∼40㎜, 대구·경북·울릉도·독도 5∼20㎜, 수도권, 강원 내륙, 충청권, 전라권, 부산·울산·경남, 제주도 5∼10㎜다. 비나 눈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치고 우박이 떨어지는 곳도 있겠으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좋음'∼'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1.0∼5.0m, 서해 앞바다에서 1.0∼4.0m, 남해 앞바다에서 0.5∼3.5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의 먼바다)의 파고는 동해·서해 1.5∼5.5m, 남해 1.0∼5.0m로 예상된다. 다음은 18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서울 : [흐리고 비/눈, 흐리고 한때 비/눈] (0∼6) <60, 60> ▲ 인천 : [흐리고 비/눈, 흐림] (0∼6) <60, 30> ▲ 수원 : [흐리고 눈, 흐림] (0∼6) <60, 30> ▲ 춘천 : [흐리고 눈, 흐리고 한때 비/눈] (-2∼6) <80, 60> ▲ 강릉 : [흐리고 눈, 흐리고 눈] (0∼5) <80, 80> ▲ 청주 : [흐리고 눈, 흐리고 비/눈] (1∼6) <80, 80> ▲ 대전 : [흐리고 눈, 흐리고 비/눈] (0∼6) <60, 60> ▲ 세종 : [흐리고 눈, 흐리고 비/눈] (0∼6) <60, 60> ▲ 전주 : [흐리고 비/눈, 흐리고 한때 비/눈] (1∼5) <60, 60> ▲ 광주 : [흐리고 비/눈, 구름많고 한때 비/눈] (1∼6) <60, 60> ▲ 대구 : [흐리고 가끔 비/눈, 흐리고 비/눈] (0∼6) <60, 60> ▲ 부산 : [구름많고 가끔 비/눈, 구름많고 가끔 비/눈] (3∼9) <60, 60> ▲ 울산 : [구름많고 가끔 비/눈, 흐리고 비/눈] (1∼8) <70, 70> ▲ 창원 : [구름많고 한때 비/눈, 구름많고 가끔 비/눈] (2∼8) <60, 60> ▲ 제주 : [흐리고 비/눈, 흐리고 가끔 비/눈] (4∼7) <70, 70>


최신기사


배너


지자체뉴스

더보기
배너

국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美연구소 보안규정 어겨 민감국가 포함된듯…정부 "정책문제 아냐"
우리신문 전은술 기자 | 정부는 17일 미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한 것은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출입기자단에 보낸 공지를 통해 미측을 접촉한 결과 이렇게 파악됐다며 "미측은 동 리스트에 등재가 되더라도 한미간 공동연구 등 기술협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미국 측은 외교부에 한국 연구원들이 DOE 산하 연구소 등에 출장이나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켜져야 할 보안 규정을 어긴 사례가 적발돼 명단에 포함됐다는 취지로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DOE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이던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에 올렸지만 그 배경에 대해선 그간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국내 언론에선 미국 에너지부 결정을 두고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간 원전 기술 분쟁과 국내 핵무장론 확대, 12·3 계엄사태와 탄핵정국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됐다. 하지만 실제론 이런 정치적·정책적 문제가 아닌 기술적 문제로 보인다. 외교부는 "과거에도 한국이 미 에너지부 민감국가 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