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의사 증가 지속…의료대란 전보다 7%↑

  • 등록 2024.11.05 12:22:20
  • 조회수 3
크게보기

 

주)우리신문 이경희 기자 |  종합병원 이상급에서 지정되는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의학 전문의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

 

지난 추석을 앞두고 응급의료 붕괴 위기까지 제기됐지만 실상은 달랐다는 건데, 전문의 증가를 두고 응급의료계에서는 보상의 '현실화'가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각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한 자료를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달 28일 현재 1천604명이다.

 

의대 정원 증원 정책 등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하기 전인 지난해 연말(1천504명)과 비교하면 응급의학 전문의는 6.7% 증가했다.

 

개별 센터마다 사정은 다르겠지만, 이들 180곳 의료기관에서 일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달 한 달 동안에도 26명 늘었다.

 

올해 추석 연휴(9월 15∼18일)를 앞두고 의사 부족으로 응급실 진료가 마비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던 9월 2일 기준(1천577명)으로도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작년 말보다 많았다.

 

응급의료법에 따르면 통상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정된다.

 

응급의학계에서는 이들 센터의 전문의 증가 추세 배경에 '보상의 현실화'가 있다고 설명한다.

 

이경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는 "통계와 현실 사이에 시차가 있다지만, 전문의가 느는 추세는 맞다"며 "정부에서 주는 직접적인 보상이 늘었기 때문에 의사 수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건강보험 재정을 투입해 전문의 진찰료를 권역·전문 응급의료센터에서 250%,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150% 가산했다.

 

진찰료 가산을 두고 이 교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받는 돈이 단순히 늘었다기보다는 그동안 응급의료의 현실에 비해 적었던 보상을 현실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부가 보건의료 재난 위기 '심각'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는 계속 늘어난 진찰료를 유지하기로 한 점은 다행"이라며 "다만, 향후 이를 제도화하지 않으면 그땐 정말 응급의료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경희 기자 rabbit8594@hanmail.net
Copyright woorinewspaper. All rights reserved.

주)우리일보 | 주소 : 경기 파주시 문산읍 사임당로 65-21, 201로(선유리, 정원엘피스타워) 등록번호: 경기, 아53189 | 등록일 : 2022-03-17 | 발행인 : 주식회사 우리신문 전용욱 | 편집장 : 박현정(010-6878-0012) | 전화번호 : 031-952-3944 Copyright woorinewspaper. All rights reserved. 서울 사무소: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5가 1 피카디리폴리스 2F 대구경북 사무소: 경북 경산시 중앙로 18길 13 인천 사무소: 인천시 서구 가정로 297 충남 사무소: 충남 홍성군 광천읍 홍남로 6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