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자영업자] ③ 부산 자영업자 비율 역대 최저…해법 찾아야

  • 등록 2025.01.27 19:01:50
  • 조회수 1
크게보기

전통 자영업 중심의 영세 업종 몰려, 인구감소·고령화에 직격
금융지원·경영개선·상권육성·사회안전망 강화 등 대책 필요

 

주)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부산지역 자영업자의 위기는 각종 통계와 지표로도 확인된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지난해 부산지역 자영업자 비중은 역대 최저치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1∼8월 기준 부산 전체 취업자 168만8천명 중 자영업자 수는 31만5천여명으로 18.6%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자영업자 통계가 지역별로 공시된 199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부산 자영업자 비율은 그동안 전국 대도시 중 최상위권으로 20∼25%를 유지해왔다.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가 지속돼 부산·경남권 경기가 얼어붙었던 2016∼2018년 외에는 줄곧 20% 이상이었다.

 

하지만 지난 2022년 자영업자 비중이 21.1%(1∼8월 기준)에서 2023년 20.8%로 줄어들더니, 지난해 18.6%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물론 지난해 자영업자 비중이 줄어든 것은 부산에서만 일어난 현상은 아니다.

 

지난해 1∼8월 기준 전국 취업자 대비 자영업자 비중은 19.7%로 1963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졌다.

 

하지만 부산의 자영업자 감소는 다른 지역보다 더 빠르게 시작됐고, 더 비중이 컸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있다.

 

고영근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위원이 분석한 지난해 1분기 기준 '부산 자영업자 감소 현황 및 배경' 자료를 보면 2023년 1분기보다 부산 자영업자는 11.3%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2023년 1분기 자영업자는 35만7천명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31만7천명으로 1년 만에 4만명이나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전국의 자영업자가 0.2% 감소한 것에 비하면 훨씬 이른 시기부터 빠르게 감소가 시작된 것이다.

 

국세청 국세 통계 자료를 보면 2023년 부산지역 사업자 중 폐업 신고를 한 사람 수는 6만75명에 달한다.

 

2016년 이후 부산 폐업자 수가 6만명을 돌파한 것은 처음으로 알려진다.

 

전문가들은 부산의 인구감소와 초고령화, 전통 서비스업 중심의 취약한 자영업자 구조가 원인이라고 진단한다.

 

한국은행 부산본부의 '지역 자영업 주요 특징과 코로나19 이후 동향(2022)' 자료를 보면 부산의 매출액 5천만원 미만의 소상공인 비중은 전국 2위이다.

 

음식점이나 숙박 등이 포함된 전통서비스업의 비중은 68.9%로 7대 대도시 중 1위이다.

 

대표자가 60세 이상인 고령 자영업자의 비중은 27.1%로 전국 평균인 23%에 비해 훨씬 높다.

 

고용원 없는 영세 자영업자 비중도 7대 대도시 중 3위다.

 

 

반면 지역의 내수 규모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인구는 10년 전인 2015년 355만명이었으나 2023년 말 330만명 선이 붕괴하며 계속 내리막 추세다.

 

소비 규모를 결정하는 '가처분소득'이 낮은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23.9%로 전국에서 가장 고령화된 대도시다.

 

부경대 경제사회연구소 문영만 전임 연구교수 "부산의 경우 산업구조가 서비스 관광 비중이 높고 중소기업 비중이 크다"면서 "그러다 보니 내수에 영향을 많이 받고,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낮은 임금이 시민들의 가처분 소득을 결정해 위기에 구조적인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지속되는 고금리 상황 속 해소되지 않고 있는 부채 문제를 해결할 금융지원이나, 경영개선, 상권육성, 사회안전망 강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자금 위기를 겪는 소상공인에게 유동성을 확대 공급하고, 이들의 채무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밝혔다.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고령화된 소상공인에게 온라인 판매 등 경영개선과 성장을 촉진하고 상권을 육성해 나가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킬러콘텐츠'로 사람을 불러 모을 수 있는 매력 있는 점포를 적극 발굴해 지원하고, 부산의 생활인구를 늘리거나 내수 소비를 높일 부산의 매력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경대 경영학부 이유태 교수는 "부산 경제가 하락하고, 급격한 인구 감소로 지갑이 닫히고 있지만 정부나 지자체가 자영업자를 대하는 태도는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다"면서 "단기적 금융지원이나 미봉책으로 일관하며 낙수효과만을 기대할 것이 아니라, 지금이라도 사회 안전보장이라는 큰 갈래를 짜놓고 경제 구조를 변경시켜나가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경대 문영만 경제사회연구소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고금리로 전환됐고 대출도 늘어나 금융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은퇴자들이 연금 수급 전까지 생계형 자영업에 뛰어들면서, 시장 경쟁률을 높이고 많이 실패하는데 연금 수급 시기 조절 등 구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현정 기자 chungain1000@naver.com
Copyright woorinewspaper. All rights reserved.

주)우리일보 | 주소 : 경기 파주시 문산읍 사임당로 65-21, 201로(선유리, 정원엘피스타워) 등록번호: 경기, 아53189 | 등록일 : 2022-03-17 | 발행인 : 주식회사 우리신문 전용욱 | 편집장 : 박현정(010-6878-0012) | 전화번호 : 031-952-3944 Copyright woorinewspaper. All rights reserved. 서울 사무소: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5가 1 피카디리폴리스 2F 대구경북 사무소: 경북 경산시 경안로 30길 5 인천 사무소: 인천시 서구 가정로 297 충남 사무소: 충남 홍성군 광천읍 홍남로 6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