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말저런글] 제1원칙, 10분가량, 통제하 붙여 써요

  • 등록 2025.03.25 11:25:55
  • 조회수 18
크게보기

 

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되도록 글을 짧게 쓰고 싶습니다. 지면도 아끼고요. 그렇다면 띄어 쓰지 않아도 될 접사(接辭)를 띄어 쓰는 것은 별로일 테지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늘 다른 어근이나 단어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하는 부분을 접사라 합니다. 접두사, 접미사가 있습니다. 접사는 붙여 씁니다. 대개 손 가는 대로 쓰면 되지만, 더러 띄어 쓸지 붙여 쓸지 헷갈립니다. 땀 흘려 접사 목록을 정리한 한 국어책의 가르침을 함께 새깁니다.

 

먼저 접두사입니다. 한자가 많습니다. 고(高)혈압 저(低)혈압 합니다. 고(古)가구 고서적 고철 하고요. 구(舊)체제 신(新)체제 합니다. 대(對)국민 담화 할 때 '대' 역시 접두사입니다. 그 밖에 제(第)삼자, 생과일, 초(初)여름, 초(超)당파 같은 것을 책은 예로 들었습니다. 직관으로 붙여 쓸 만한 것들입니다. 다만 제삼자에 쓰인 바로 그 제(차례, 순서를 뜻합니다)를 아라비아 숫자 앞에 놓아 '제 1의 법칙'처럼 쓰는 실수를 합니다. 띄어쓰기, 불필요합니다. 제1의 법칙, 제일의 법칙 하면 됩니다.

 

접미사 띄어쓰기 오류도 줄이면 좋겠습니다. 10초가량 하면 되는데, 10초 가량 하고 띕니다. 그럴 필요 없습니다. 붙여 쓰는 예를 나열합니다. 두 개씩, 백 원어치, 뿌리째, 이틀째, 화산대, 신문대, 수십억대 재산, 천여 명, 취재차, 절차상, 잡화상, 나선상, 공중전, 개인전, 대웅전, 통제하 등등등입니다. 여기서 차례대로 대는 화산대(帶) 신문대(代) 수십억대(臺) / 상은 절차상(上) 잡화상(商) 나선상(狀) / 전은 공중전(戰) 개인전(展) 대웅전(殿)입니다.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안남영, 『까칠한 우리말』, 리상, 2018 (p.232-233. 인용)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3.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박현정 기자 chungain1000@naver.com
Copyright woorinewspaper. All rights reserved.

주)우리일보 | 주소 : 경기 파주시 문산읍 사임당로 65-21, 201로(선유리, 정원엘피스타워) 등록번호: 경기, 아53189 | 등록일 : 2022-03-17 | 발행인 : 주식회사 우리신문 전용욱 | 편집장 : 박현정(010-6878-0012) | 전화번호 : 031-952-3944 Copyright woorinewspaper. All rights reserved. 서울 사무소: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5가 1 피카디리폴리스 2F 대구경북 사무소: 경북 경산시 경안로 30길 5 인천 사무소: 인천시 서구 가정로 297 충남 사무소: 충남 홍성군 광천읍 홍남로 6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