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화)

  • 흐림동두천 -0.7℃
  • 흐림강릉 1.8℃
  • 서울 0.9℃
  • 흐림대전 0.5℃
  • 흐림대구 1.2℃
  • 흐림울산 1.2℃
  • 흐림광주 2.0℃
  • 흐림부산 4.2℃
  • 구름많음고창 1.7℃
  • 제주 5.1℃
  • 흐림강화 0.9℃
  • 흐림보은 -0.7℃
  • 흐림금산 1.0℃
  • 흐림강진군 3.2℃
  • 흐림경주시 -1.4℃
  • 흐림거제 4.5℃
기상청 제공

스포츠

퇴임식 가진 장재근 선수촌장 "잘 따라준 선수·지도자에 감사"

국가대표지도자協 퇴임식 참석…"더 높은 곳 향해 도전했으면"
항저우 AG·파리 올림픽·하얼빈 동계AG서 괄목할 성적 이끌어

 

주)우리신문 정종원 기자 |   "짧은 기간에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건 선수와 지도자들이 잘 따라준 덕분입니다. 앞만 보고 닦달해 힘들었을 텐데 묵묵히 해준 모두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을 책임지며 국제 무대에서 좋은 성과를 낸 '한국 육상의 전설' 장재근(63) 선수촌장이 2년간의 임기를 마무리하고 퇴임식을 가졌다.

 

장재근 촌장은 19일 오후 충북 진천선수촌 내 챔피언하우스 대강당에서 국가대표지도자협의회(회장 강호석)가 주최한 퇴임식에 참석해 임기를 마무리하는 소회를 밝혔다.

 

이날 퇴임식은 감사패 전달과 강호석 국가대표지도자협의회장의 송별사, 국가대표지도자들의 사인이 담긴 태극기 전달, 장 촌장의 고별사 순으로 진행됐다.

 

장 촌장은 2023년 3월 26대 선수촌장으로 부임해 2년간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2024 파리 올림픽,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등 세 차례 메이저 국제종합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2020 도쿄 올림픽의 부진으로 엘리트 스포츠가 벼랑 끝에 몰렸을 때 선수촌장 중책을 맡아 한국 스포츠 중흥에 기여한 것이다.

 

특히 파리 올림픽에선 남자 축구가 본선행에 실패하는 등 단체 구기 종목의 집단 부진 여파로 한국 선수단 규모가 1976년 몬트리올 대회 이래 48년 만에 최소인 144명(21개 종목)으로 쪼그라들었음에도 금메달 13개, 은메달 9개, 동메달 10개로 종합 순위 8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또 이달 중순 끝난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도 금메달 16개와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로 2회 연속 종합 2위에 올라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했다.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과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육상 남자 200m에서 연속 금메달을 딴 한국 육상 단거리 스타 출신인 장 촌장은 퇴임식에 앞서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촌장이라는 리더가 중심을 잡고 하나의 목표를 향해 흔들려선 안 된다"면서 "선수들이 힘든 과정을 잘 버텨냈기 때문에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에서 좋은 결과로 이어졌던 것 같다"고 되돌아봤다.

 

그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선수들이 매일 의무적으로 새벽 훈련에 참여하도록 하고,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선수촌 내 와이파이 인터넷을 차단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장 촌장은 "선수들이 밤에 게임 등을 하느라 잠을 설치면 훈련에 전념할 수 없다"며 "충분한 수면과 체력 향상으로 선수들이 집중력과 기술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런 것들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좋은 성적으로까지 연결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선수들은 20대 청춘을 투자했으니 더 높은 곳을 향해 도전했으면 좋겠다"면서 "2년여 기간 보람 있고 행복했다"고 말했다.

 

강호석 국가대표지도자협의회장은 "장재근 촌장님이 지도자들을 위해 솔선수범하셨기 때문에 파리 올림픽에서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성적을 거뒀다"면서 "올림픽을 함께한 지도자들은 더 애틋하다. 그래서 지도자협의회가 퇴임식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치

더보기

경제.사회

더보기
美연구소 보안규정 어겨 민감국가 포함된듯…정부 "정책문제 아냐"
우리신문 전은술 기자 | 정부는 17일 미 에너지부(DOE)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한 것은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출입기자단에 보낸 공지를 통해 미측을 접촉한 결과 이렇게 파악됐다며 "미측은 동 리스트에 등재가 되더라도 한미간 공동연구 등 기술협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미국 측은 외교부에 한국 연구원들이 DOE 산하 연구소 등에 출장이나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켜져야 할 보안 규정을 어긴 사례가 적발돼 명단에 포함됐다는 취지로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DOE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이던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에 올렸지만 그 배경에 대해선 그간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국내 언론에선 미국 에너지부 결정을 두고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간 원전 기술 분쟁과 국내 핵무장론 확대, 12·3 계엄사태와 탄핵정국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됐다. 하지만 실제론 이런 정치적·정책적 문제가 아닌 기술적 문제로 보인다. 외교부는 "과거에도 한국이 미 에너지부 민감국가 리

국제

더보기
美민감국가 지정 배경 아직도 오리무중…정부 대응 한계 우려
우리신문 임기섭 기자 | 미국 에너지부(DOE)가 원자력·에너지·첨단기술 협력이 제한되는 민감국가 명단에 한국을 포함했다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어떤 이유에선지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다음 달 15일 발효 전 한국이 민감국가 명단에서 빠질 수 있도록 미국과 적극적으로 협의한다는 입장이지만, 애초에 왜 포함됐는지가 여전히 파악되지 않아 대응에 애를 먹는 모습이다. 17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한국이 DOE의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에 오른 이유에 대해 아직 명확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 DOE는 지난 15일 연합뉴스에 전임 조 바이든 정부 시절이던 1월 초 한국을 SCL에 추가했다고 확인하면서도 그 이유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경위 파악을 위해 주미대사관 등 채널을 총동원하고 있지만, SCL이 에너지부 특정 부서가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목록의 성격이 강하다보니 구체적인 설명을 공식적으로 듣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보안과 관련된 사안이어서 미 국무부조차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게 쉽지 않은 분위기라고 한다. 외교 당국자는 17일 "워낙 민감한 사인이라 미국으로부터 정확한 설명을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