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3.2℃
  • 흐림강릉 23.2℃
  • 서울 24.0℃
  • 대전 24.8℃
  • 대구 24.3℃
  • 울산 24.6℃
  • 광주 24.3℃
  • 부산 24.1℃
  • 흐림고창 24.4℃
  • 흐림제주 27.8℃
  • 구름조금강화 22.7℃
  • 흐림보은 24.6℃
  • 흐림금산 24.4℃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4℃
  • 흐림거제 24.2℃
기상청 제공

경제

폐기수순 일회용컵 보증금제…참여기업 투자금 64억원 날려

80억원 납품·배송 계약 맺고 선투자…실제 매출은 3억원
납품 계약 종료되면서 기업들 투자금 회수 사실상 불가능

 

주)우리신문 김광명 기자 | 정부가 전국적으로 도입하겠다고 공언하며 대대적으로 추진했던 '일회용컵 보증금제도'가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으면서, 정부를 믿고 거액을 투자한 기업들이 수십억원대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발주 물량을 맞추려고 미리 시설투자를 마쳤는데, 갑작스럽게 사업을 대폭 축소하면서 그 피해를 고스란히 기업들이 떠안았다.

 

26일 한국조폐공사와 인쇄업계 등에 따르면 일회용컵 보증금제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64억원의 투자 손실을 떠안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커피숍 등에서 일회용 컵을 사용할 때 보증금 300원을 더 냈다가 컵을 반납하면 되돌려주는 방식이다. 보증금 반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바코드 라벨'(스티커)을 붙이도록 했다

 

정부는 애초 매년 20억장·80억원 상당의 바코드 라벨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인쇄업체 2곳, 물류업체 1곳과 납품·배송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지난해 실제 주문·배송한 라벨은 6천400여만장(3.2%), 3억원에 불과했다.

 

전국에 도입하기로 했다가 갑자기 세종시와 제주도에만 시행하기로 전면 축소하면서 발주량이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기업들이 이미 20억장·80억원대 물량을 맞추기 위해 투자를 마친 상태라는 데 있다.

 

사업 수행기관으로 지목된 한국조폐공사는 조달청 나라장터 입찰시스템을 통해 광주에 있는 A업체와 14억장(60억원 가량), 충남 천안의 B업체로부터 나머지 6억장(20억가량)의 바코드 라벨을 납품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물류업체는 4억8천만원을 받고 연간 택배 20여만건을 전국에 배송하기로 했다.

 

전체 인쇄물량의 70%를 따낸 A업체는 40억원을 미리 투자해 인쇄기와 검수·리딩기 등 장비 10여대를 구입하고, 인력도 10여명 충원했다. B업체도 장비와 인력을 확보하는데 23억원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하루에 일정 물량을 공급하지 못하면 페널티를 무는 '지체보상 약정' 계약조건이었기 때문에 생산량을 맞추려면 다른 거래처 계약을 끊어야 했다. 물류업체 역시 조폐공사의 재고관리 시스템과 연동된 배송 시스템을 구축했다.

 

3개 업체가 일회용 컵 보증금제도 사업에 미리 투입한 투자금만 64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이들 기업이 지난해 바코드 라벨을 제작·배송한 실적은 3억원이 채 안 된다.

 

이마저도 지난해 말 계약이 종료되면서 투자금 회수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환경부가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전국 확대를 미루고, 지자체 자율에 맡기도록 방침을 세우면서 시행 1년 만에 사실상 폐기수순에 들어갔다.

 

인쇄업체 한 관계자는 "납품 계약조건을 맞추기 위해 우리는 다른 일을 모두 중단하고 여기에 집중했다"며 "초기에 수율이 나오지 않아서 직원들이 야간작업하며 물량을 맞췄는데, 지금은 매달 1천만원이 넘는 은행 이자 갚는 것도 버겁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여야, 제2연평해전 희생 장병 추모…"서해영웅들 잊지 않겠다"
주)우리신문 김영태 기자 | 여야는 제2연평해전 22주년인 29일 당시 희생된 해군 장병들을 나란히 추모했다. 국민의힘 김혜란 대변인은 논평에서 "22년 전 오늘, NLL(북방한계선)을 침범해 기습도발을 감행한 북한에 맞서 조국을 지킨 영웅들을 기억한다"며 "여섯 용사의 영전에 고개 숙여 깊은 경의를 표하며 숭고한 희생을 잊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현재 한반도 안보 상황은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하다"며 "북한은 각종 미사일 발사, GPS 교란, 오물 풍선 살포 등 다양한 형태의 도발을 감행하며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 어떤 북한의 도발에도 국민의 생명과 대한민국의 안보에서만큼은 한 치의 빈틈도, 그 어떤 타협도 있을 수 없다"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더욱 굳건한 안보태세로 대한민국과 자유민주주의를 지켜내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한동훈 대표 후보는 페이스북에서 "서해의 영웅들은 그 짧은 순간, 자신의 예정된 죽음과 사랑하는 가족들이 겪을 고난을 생각했을 것 같다. 그러면서도 끝까지 조타기를 놓지 않았다"며 "연평해전 이후 남겨진 사람들이 겪어온 현실의 풍파와 눈물을 생각한다. 영웅들을 더


국제

더보기
"러시아서 열린 북한 상품박람회에 한국인은 출입 금지"
주)우리신문 김영태 기자 |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북한 상품박람회 '2024년 조선상품축전'에 한국 국적자는 출입이 금지됐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9일 보도했다. RFA는 박람회장에 다녀온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전시장 입구에서 방문객의 신분증과 여권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한국 국적자의 출입을 철저히 막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그러면서도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목적으로 한국 기업인 롯데가 운영하는 호텔 로비에 박람회 홍보영상을 틀어놓는 모순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북한 기업 70여곳이 생산한 식품, 의류, 건강용품, 공예품, 악기, 가발 등을 선보였는데, 정찰위성 발사체 '천리마-1형'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본뜬 대형 튜브도 눈에 띄었다. 박람회에는 유엔 대북제재 명단에 포함된 만수대 창작사의 작품도 있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만수대 창작사가 벌어들인 외화가 북한의 핵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며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한 상품 박람회가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해 9월에 이어 9개월 만에 정상회의를 또 개최한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다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