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1 (목)

  • 구름조금동두천 7.3℃
  • 맑음강릉 11.6℃
  • 흐림서울 8.5℃
  • 흐림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조금울산 10.0℃
  • 구름많음광주 11.1℃
  • 구름조금부산 12.2℃
  • 흐림고창 9.7℃
  • 흐림제주 13.0℃
  • 구름조금강화 5.9℃
  • 흐림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9.0℃
  • 흐림강진군 12.2℃
  • 구름조금경주시 10.9℃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국제

스페인 홍수참사 인재였나…"목까지 물찼는데 대피문자 왔다"

8시간만에 1년치 강우…먹통경보·늑장행정 십자포화
기후변화 적응 실패…대응할 수 있는 새 경보체계 절실

 

주)우리신문 염진학 기자 |  "왜 스페인 대홍수는 200명 넘는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을까."

 

스페인 발렌시아 등 남동부 지역에 지난 달 29일(현지시간) 쏟아진 기습 폭우로 최소 205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이 같은 대참사를 야기한 원인에도 관심이 쏠린다.

 

스페인 기상청에 따르면 당시 발렌시아 서쪽 치바에선 29일 새벽부터 8시간 동안 1m²당 491L의 비가 쏟아졌다. 이는 이 지역의 통상 1년치 강수량이라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그로 인해 강물이 범람하고, 주택이 침수되면서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기상학자들은 이번 폭우가 '고타 프리아'(gota fria·차가운 물방울)라고 불리는 기후 현상이 지구 온난화로 증폭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한다.

 

이 시기에 이베리아반도의 찬 공기가 지중해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만나 강력한 비구름을 형성하는데, 기후 변화로 인해 지중해 공기의 온습도가 예전보다 더 높아지면서 더 강력한 비를 뿌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대참사의 규모가 기후 요인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는 견해가 많다.

 

특히 현지에서는 주민들이 재난을 피할 수 있도록 적시에 경보 시스템이 발동됐는지를 놓고 거센 비판이 일고 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스페인 기상청이 폭우 '적색경보'를 발령한 때부터 지역 주민들에게 긴급 재난 안전문자가 발송되기까지는 약 12시간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이 경보를 적색으로 격상한 시각은 29일 오전 7시 36분인데, 주민들에게 첫 안전문자가 간 시각은 같은 날 오후 8시12분이었다는 것이다.

 

그 사이 발렌시아 비상대응센터는 오전 7시45분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폭우를 주의하라는 메시지를 게시한 뒤 이후에도 관련 정보를 갱신했지만, 이는 보도자료와 SNS를 통해서만 전파됐다.

 

휴대전화 경보 전송에 관한 결정은 비상대응센터가 아닌 지방자치단체·중앙정부 대표 등으로 구성된 상급기관이 한다고 WP는 전했다.

 

발렌시아의 한 주민은 홍수가 그의 차를 덮친 뒤에야 휴대전화로 대피하라는 메시지를 받았다고 현지 언론에 전했다.

 

그는 "8시쯤, 한 시간 동안 목까지 물에 잠겨 진흙을 삼키고 있을 때, 경보 소리를 들었다"며 당시 급박한 상황을 회상했다.

 

안전문자 발송 결정이 지연되는 동안 물이 삽시간에 불어나면서 주민들이 생명의 위협을 받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 셈이다.

 

바르셀로나 도시 환경정의·지속가능성 연구소 소장 이사벨 앙겔로브스키는 홍수가 거세고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뒤늦게 발송한 문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일각에선 안전문자의 내용 또한 너무 모호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오후 8시12분에 전송된 첫 문자는 "어떠한 종류의 이동도 피하라"는 간단한 내용만 담겼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 뒤 오후 9시께 전송된 두번째 문자는 집에 머물거나, 강이나 협곡에 가까운 곳에 거주하고 있다면 더 높은 곳으로 이동하라고 안내했다고 한다.

 

스페인 알리칸태대 기후관측소장인 호르헤 알시나는 사업장을 폐쇄하라고 권고하거나, 대피소에 가야할 주민들을 특정하는 등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며 이같은 정보가 담긴 신속한 문자는 엄청난 도움이 됐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WP는 적색경보 발령 뒤 당국자들이 문자를 전송하기까지 왜 12시간이 걸렸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번 홍수 사례는 사람들이 이전에 경험한 것보다 더 극심한 날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전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도 어려운지를 보여준다"고 짚었다.


정치

더보기
이재명, '사법리스크 충격파'에도 연이어 민생경제 행보
주)우리신문 이성제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0일 이른바 '사법 리스크'로 당 안팎의 분위기가 어수선한 상황에서도 민생경제 일정을 연이어 소화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한 카페에서 국내 주식 투자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당론 추진하는 기업 이사의 충실 의무를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이 대표는 이같은 상법 개정을 통해 국내 주식시장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책임지고 통과시킬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대표는 "검찰이 수시로 회사 자료를 가지고 심심하면 (배임죄 등으로) 내사한다. 죄가 되든 말든 기소를 하고 재판을 몇 년씩 받으면 회사가 망해버린다"라며 "삼성전자가 그러고 있는 것 같다. 불행한 일 아닌가"라며 배임죄 완화를 화두로 던지기도 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한국무역협회 윤진식 회장 등 임원들을 만나서는 "국내적 여건도 호락호락하지 않고, 국제적 환경도 악화하는 중이어서, 수출 기업이 겪는 어려움도 배가되고 있다"이라며 "민주당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최대한 찾아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21일에도 경기 수원시에 있는 전통시장을 방문하고, 소상공인들이 참여하는 민생현장 간담회를 열

경제.사회

더보기
최윤범 외신인터뷰 놓고 '공방'…"기획성 인정"vs"악의적 오역"
주)우리신문 박형욱 기자 | MBK파트너스와 영풍[000670]은 20일 최윤범 고려아연[010130] 회장이 언론 인터뷰에서 일반공모 유상증자는 경영권 방어를 목적으로 기획한 것임을 인정했다며 이는 기존 입장과 배치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에 고려아연은 반박 자료를 내고 "인터뷰 취지나 내용을 왜곡한 주장으로,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MBK·영풍 연합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최 회장이 외신과 인터뷰에서 이 같은 발언을 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이날 보도된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유상증자를 시도한 데 대해 주주들에게 사과하며 "적대적 인수 시도를 막아내야 할 필요성에 사로잡혀 있었고 그것(유상증자)이 회사와 주주, 직원에게 좋다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에 좁은 시야에 갇혀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기자회견에서도 최 회장은 취재진과 질의응답 과정에서 "만약 이러한 유상증자 철회를 통해서 필패가 예상됐다면 조금 무리가 되더라도 이것(유상증자)을 더 추진해 볼 생각이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고 MBK·영풍 연합은 주장했다. 이들은 "이와 같은 최 회장의 발언은 일반공모 유상증자가 최대주주인 MBK·영풍과의 지분율 대결을 위한 도구로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