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5 (화)

  • 구름많음동두천 4.3℃
  • 흐림강릉 5.0℃
  • 구름많음서울 5.0℃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많음대구 6.7℃
  • 구름조금울산 8.8℃
  • 구름조금광주 5.6℃
  • 구름조금부산 8.3℃
  • 구름많음고창 4.5℃
  • 흐림제주 8.0℃
  • 흐림강화 4.7℃
  • 맑음보은 4.4℃
  • 구름많음금산 5.1℃
  • 구름많음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8.9℃
  • 구름조금거제 6.3℃
기상청 제공

문화

"안중근 사형 선고일인데"…하얼빈기념관 한국어 설명 살펴보니

맞춤법·띄어쓰기 '제멋대로'…서경덕 교수, 국민적 관심 촉구

 

주)우리신문 김경환 기자 | 중국 하얼빈에 있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의 한국어 전시 설명이 맞춤법·띄어쓰기가 틀리는 등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4일 안중근 의사 사형 선고일이자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폐막일을 맞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했다.

 

서경덕 교수는 "기념관에 다녀온 많은 분이 한국어 설명문에 오류가 많다는 내용의 제보를 해왔다"며 "틀린 맞춤법, 띄어쓰기는 물론 진감하다(울려 흔들다 또는 흔들리다) 등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도 여러 개 보였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5년 전 갔을 때 현지 직원에게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지만, 전혀 고쳐지지 않은 것 같다"며 "기념관의 관리·감독은 중국 측에서 하고 있지만, 국가보훈부 등 관련 정부 부처에서 중국 측에 항의해 충분히 시정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처럼 해외에 남아있는 대한민국 독립운동 유적지의 보존 상황이 좋은 편은 아니다"라며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방문만이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제.사회

더보기
북한선전물·욱일기도…'알테쉬' 유해상품 불법유통에 '무방비'
주)우리신문 김기운 기자 |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쉬인, 이른바 '알테쉬'로 불리는 중국계 3대 온라인 쇼핑몰이 한국 공략을 가속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커질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동안 줄곧 제기된 유해성 문제가 좀처럼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테무는 최근까지도 한국어 판매사이트에서 북한 체제를 선전하는 상품을 판매했다. 검색창에 '북한'이나 'North Korea'(노스 코리아·북한)를 입력하면 북한 체제를 선전·미화하거나 반미주의를 강조하는 포스터 등이 표출되는 식이다. 알리익스프레스도 지난해 한국 법규에 저촉될 수 있는 북한 관련 상품을 무분별하게 판매하다가 지탄을 받았는데 테무에서도 같은 문제가 드러난 것이다. 테무는 이와 관련한 언론의 지적이 나오자 해당 검색어에 따른 상품 진열을 막아놓은 상태다. 하지만 테무 사이트에선 여전히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뾰족한 장식용 일본도나 욱일기가 새겨진 의류 등 현행법 또는 우리 국민감정을 거스르는 상품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다. '짝퉁'(가품) 유통도 해묵한 이슈다. 문제는 이를 규제할 수단이 마땅치 않아 플랫폼의 자체 모니터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

국제

더보기
국제 왕따서 외교 거물로…우크라 종전 중재 나선 사우디 왕세자
주)우리신문 서전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추진을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회담을 가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중재 역할에도 관심이 쏠린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13일(현지시간) 한때 국제 사회에서 외면받았던 '왕따' 빈 살만 왕세자가 국제 외교의 핵심 인물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타임스에 따르면 사우디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가 외교 분야에서 존재감을 키운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는 2018년에만 해도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피살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며 국제적 공분을 샀다. 사우디를 예멘 내전에 휘말리게 하고 레바논 총리 납치와 카타르와의 단교를 주도하는 등 충동적이고 무모한 결정으로 서방에서는 위험한 인물로 간주돼왔다. 더타임스는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빈 살만 왕세자가 누구나 만나기를 원하는 핵심 인사로 떠올랐다고 진단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세계 경기 둔화, 에너지난 등으로 산유국인 사우디의 입지가 커졌고, 빈 살만 왕세자 스스로도 관광과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보수적이었던 왕국을 개혁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측근들은 그가 나이가 들면서 현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