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신문 김정숙 기자 | 아프리카 대륙은 오랫동안 각종 분쟁과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등으로 심각한 난민 문제를 겪어 왔다. 아프리카 내 강제실향민의 75%를 차지하는 국내실향민(IDP)까지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인도적 위기를 넘어 국제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도전 과제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출신 중 유럽, 중동, 북미 등 역외 지역에 정착한 난민은 15% 정도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나머지 85%를 차지하는 아프리카 역내 난민은 규모가 3배에 달하는 역내 국내실향민과 함께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는 실정이다. 여기에는 지중해를 건너 유럽으로 이주를 시도하는 아프리카인을 집중 조명하며 유럽의 난민 위기를 강조하는 서구 매체의 보도 경향도 한몫 거들었다. 전세계 강제이주민 3명 중 1명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무력 분쟁과 정치적 박해, 자연재해 등으로 국내외에 흩어진 강제실향민은 작년 6월 현재 1억2천260만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약 37%인 4천620만명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출신이며 약 36%인 4천420만명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 있다. 난민과 국내실향민 등 전 세계 강제실향민 3명 중 1명
우리신문 김정숙 기자 | 미국 '트럼프 2기' 시대를 맞아 난민들의 삶이 더 피폐해질 위기에 놓였다.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지난해 6월 현재 전세계에서 무력분쟁, 내란, 박해,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정든 고향을 떠나 국내외로 흩어진 강제이주 피해자는 1억2천260만명이다. 이 가운데 국경을 넘은 난민 및 난민(비호) 신청자는 약 4천370만명이고 삶의 터전을 잃은 채 아직 해당 나라에 머문 국내실향민은 약 7천210만명이다. 난민의 역사는 오래됐다. 일찍이 기원전 8세기 고대 이스라엘 예언자들은 피란민들에 대한 따뜻한 환대를 촉구했다. 20세기는 난민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차 세계대전 후에는 유럽인 4천만명 이상이 난민이 됐다. 이들 대규모 난민을 귀환하기 위해 1950년 UNHCR이 설립됐다. 이듬해에는 유엔에서 난민의 정의와 기본 권리를 규정한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이 채택됐다. 협약 비준국인 대한민국도 1994년부터 난민제도를 시행했다. 이후 31년간 국내 난민 신청건수는 12만건이 넘었으나 심사를 거쳐 난민으로 인정된 비율은 2.7%(1천544명)에 그쳤다. 2015년 9월 시리아 난민 꼬마 아일란 쿠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