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가보훈부 승격과 재외동포청 신설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공포안에 서명한 뒤 축하메시지를 작성, 참석자들의 박수를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woorinewspaper.co.kr/data/photos/20230309/art_16779198361092_419156.jpg)
주)우리신문 김일권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일 “국가의 품격은 누구를 기억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대한민국의 부름에 응답한 분들을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정부조직법 공포안 공개 서명식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이날 공포된 정부조직법에 따라 오는 6월 국가보훈처는 ‘부’로 격상되고, 외교부 산하에 재외동포청이 신설된다.
윤 대통령은 “우리가 누리는 눈부신 번영은 호국영웅들이 목숨 걸고 자유를 수호한 결과”라며 “국가보훈부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이 존중받고 예우받는 보훈 문화의 확산”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호국 영웅들을 한 치의 소홀함 없이 책임 있게 예우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재외동포청 신설과 관련해서는 대선과 해외 순방 과정에서 동포들을 만날 때마다 했던 약속이라며 “전 세계 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재외동포청 출범은 의미가 남다르다”고 말했다.
전자 결재 방식을 도입한 이후 대통령이 부처 신설 관련 법안에 직접 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서명식에는 유공자 예우 차원에서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과 그 가족을 초대했다.
1965년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이등병이 놓친 수류탄을 몸으로 막은 고(故) 강재구 소령, 1968년 1·21 사태 때 북한 무장공비의 청와대 습격을 저지하다 전사한 고(故) 최규식 경무관, 2002년 제2연평해전 전사자 고(故) 윤영하 소령, 2010년 천안함 피격사건 전사자 고(故) 김태석 원사, 2010년 연평도 포격전 전사자 고(故) 서정우 하사 등의 유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