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5 (일)

  • 구름많음동두천 23.5℃
  • 흐림강릉 21.9℃
  • 구름조금서울 25.3℃
  • 구름조금대전 25.4℃
  • 구름조금대구 25.1℃
  • 구름많음울산 24.8℃
  • 맑음광주 25.3℃
  • 구름많음부산 27.6℃
  • 맑음고창 24.2℃
  • 제주 28.8℃
  • 구름많음강화 23.8℃
  • 구름조금보은 23.9℃
  • 맑음금산 23.9℃
  • 구름조금강진군 25.6℃
  • 흐림경주시 24.8℃
  • 구름조금거제 27.7℃
기상청 제공

정치

[국방] 北, 한일 정상회담 당일 ICBM 도발… '한일 협력'에 노골적 불만

합참 "오전 7시10분, 평양 순안서 동해상으로 장거리탄도미사일 1발 포착"
고각으로 발사돼 1000km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 일본 EEZ 밖에 떨어져
한일, 北 미사일경보정보 공유 움직임… 한미 FS훈련에 北 거세게 반발

 

주)우리신문 김일권 기자 | 북한이 한일 정상회담 당일인 16일 오전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1발을 발사했다. 한일 양국의 협력에 따른 노골적 반대 의사 표시로 풀이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7시10분쯤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장거리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날 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돼 약 1000km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으며, 한미 정보당국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관련한 동향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일본 방위성은 북한 탄도미사일이 일본 베타적경제수역(EEZ) 밖에 낙하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ICBM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18일에도 이곳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15형'을 발사한 바 있다. 당시 '화성-15형'은 고도 5700여km, 비행거리 약 900km로 분석됐다.

 

북한의 이날 미사일 도발은 한일 정상회담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도쿄에서 만나 회담할 계획이다. 한국과 일본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양국 협력을 강화하고 미사일경보 정보 공유 등 공동대응을 위한 움직임에 나서고 있다.

 

또한 지난 13일부터 한반도 일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미연합훈련인 '자유의방패(Freedom Shield)'에 반발하는 움직임으로도 해석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2일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8기 제5차 확대회의를 주재했다. 당시 회의에서 북한은 "미국과 남조선의 전쟁 도발 책동이 각일각 엄중한 위험계선으로 치닫고 있는 현정세에 대처하여 나라의 전쟁억제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사하며 위력적으로, 공세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중대한 실천적 조치들이 토의결정되였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북한은 이달 들어 벌써 네 차례에 걸쳐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무력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 9일 '신형전술유도무기'인 근거리탄도미사일(CRBM) 6발을 발사했으며, 12일에는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SLCM) 2발, 14일에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2발을 발사했다.

 

합참은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확고한 연합방위태세 하에 계획하고 있는 연합연습과 훈련을 강도 높고 철저히 시행하면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초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유엔사부사령관 "9·19합의 파기이후 긴장 높아져…대화에 중점"
주)우리신문 김광명 기자 | 정전협정을 유지·관리하는 유엔군사령부의 데릭 매콜리 부사령관은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 이후 한반도에서 긴장 수위가 높아졌다고 우려했다. 매콜리 부사령관은 11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군사합의 파기 이후 각종 사건이 발생하면서 한반도의 긴장 수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북한은 작년 11월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하고, 군사정찰위성과 미사일 발사, 쓰레기 풍선 살포, 위치정보시스템(GPS) 전파 교란 공격 등 도발을 이어왔다. 우리 정부도 지난 6월 9·19 군사합의 효력을 전면 정지하고, 북한 쓰레기 풍선 도발에 대응해 최전방 지역에서 대북 확성기를 가동하고 있다. 매콜리 부사령관은 9·19 군사합의 파기 후 발생한 사건 중 일부에 대해 정전협정 위반으로 간주해 조사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조사 대상과 결과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 6월 유엔사는 북한군의 군사분계선(MDL) 침범과 한국의 대북 확성기 방송 등 접경지역에서 일어난 사안들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매콜리 부사령관은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해 "열린 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정전협정 유지를 위해

경제.사회

더보기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