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24.6℃
  • 구름많음강릉 24.2℃
  • 구름많음서울 25.5℃
  • 구름많음대전 26.0℃
  • 맑음대구 25.6℃
  • 박무울산 24.9℃
  • 맑음광주 25.7℃
  • 맑음부산 27.1℃
  • 구름조금고창 23.9℃
  • 맑음제주 26.8℃
  • 구름많음강화 23.5℃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조금금산 23.7℃
  • 맑음강진군 24.3℃
  • 맑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4.7℃
기상청 제공

경제

지속 성장한 모바일 앱 수익은 지난해 531억달러로 사상 최고치, 올해 612억달러 육박할 것으로 전망… 틱톡·유튜브 등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 수익 1위

센서타워 ‘2024년 전 세계 모바일 앱(비게임) 시장 전망’ 리포트 발표

 

주)우리신문 김성묵 기자 | 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의 수익과 다운로드 수 추세, 다양한 카테고리의 앱의 다운로드 수와 수익 추세, 전 세계 엔터테인먼트·AI·이커머스 등 인기 카테고리에서의 앱 순위와 시장별 성과 및 디지털 광고 지출 트렌드 등을 포함한 ’2024년 전 세계 모바일 앱 (비게임)` 리포트를 발표했다. 

 

2023년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 다운로드 수는 850억 건으로, 기본적으로 2022년의 다운로드 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이전의 소폭 하락세를 멈췄다. 2024년에는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 다운로드 수가 875억 건에 달해 다시 상승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2028년까지 약 4.3%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050억 건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운로드 수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지만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은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2023년에는 전년 대비 15.2% 상승한 531억달러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4년에도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은 여전히 15%가 넘는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면서 612억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8년에는 15.7%에 달하는 연평균 성장률로 110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모바일 앱의 다운로드 수를 카테고리별로 보면 생산성, 쇼핑 앱 등의 다운로드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챗지피티(ChatGPT)’로 대표되는 AI 앱의 강세가 돋보이는 가운데 전 세계 생산성 앱의 2023년 다운로드 수는 13% 증가하며 70억 건에 달했다. 2023년에는 이커머스 앱 ‘테무(Temu)’와 ‘쉬인(SHEIN)’이 해외시장을 공략하면서 전 세계 쇼핑 앱의 다운로드 수는 6% 오른 60억 건을 돌파했다.

2023년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비게임 모바일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2023년 전 세계 인앱 구매 수익이 1억달러를 돌파한 비게임 앱은 80개로, 이는 전년 대비 23% 증가한 수치다. 카테고리 중에서는 ‘틱톡(TikTok)’, ‘유튜브(YouTube)’ 등으로 대표되는 엔터테인먼트 앱의 수익이 25% 증가한 143억달러를 기록했다.

‘틱톡’은 2023년에도 엄청난 수익을 올렸다. 연간 인앱 수익이 20% 증가한 40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전 세계 모바일 앱(게임+비게임) 수익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유튜브’도 수익 순위 2위, 수익 성장 순위 3위에 오르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2023년 수많은 AI 앱이 출시되며 AI 앱의 다운로드 수와 수익 모두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다. 2022년 대비 AI 앱의 수, 연간 다운로드 수, 연간 인앱 구매 수익은 각각 160%, 60%, 70% 증가했다.

AI 앱의 세부 카테고리별 인앱 구매 수익 추세를 살펴보면 숏폼 동영상과 소셜 미디어의 증가로 ‘Picsart AI Photo Editor’와 같은 AI+사진 및 동영상 편집 앱 수익은 끊임없이 증가해 2023년에는 전체 AI 수익의 54%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리는 AI 세부 카테고리가 됐다.

전 세계 이커머스 앱 시장은 2023년 불안정하고 변화무쌍했다. 해외에 진출한 이커머스 앱 ‘테무’의 강세와 ‘쉬인’, ‘미쇼’ 등의 꾸준한 성장으로 전체 이커머스 앱 다운로드 수가 60억 건을 돌파하며 새로운 기록을 경신했다.

‘테무’는 2023년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등 여러 시장에서 세를 확장해 다운로드가 23배나 증가한 3억2000만 건을 돌파하며 처음으로 ‘아마존 쇼핑(Amazon Shopping)’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되고 가장 빨리 성장한 이커머스 앱으로 기록됐다.

미국 시장에서 이커머스 리테일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지출은 최근 몇 년 동안 증가해 2023년에는 전년 대비 24% 이상 증가한 216억달러에 달했다. 2023년에는 ‘테무’와 ‘쉬인’이 전 세계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미국 시장에서 디지털 광고 지출액이 각각 5억1000만달러와 4억2000만달러로 증가하며 디지털 광고 지출 1위인 ‘아마존 쇼핑’의 뒤를 이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2024년 전 세계 모바일 앱(비게임) 시장 전망’ 리포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센서타워 사이트에서 리포트 전문을 다운받을 수 있다.

 

 


정치

더보기
유엔사부사령관 "9·19합의 파기이후 긴장 높아져…대화에 중점"
주)우리신문 김광명 기자 | 정전협정을 유지·관리하는 유엔군사령부의 데릭 매콜리 부사령관은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 이후 한반도에서 긴장 수위가 높아졌다고 우려했다. 매콜리 부사령관은 11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군사합의 파기 이후 각종 사건이 발생하면서 한반도의 긴장 수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북한은 작년 11월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하고, 군사정찰위성과 미사일 발사, 쓰레기 풍선 살포, 위치정보시스템(GPS) 전파 교란 공격 등 도발을 이어왔다. 우리 정부도 지난 6월 9·19 군사합의 효력을 전면 정지하고, 북한 쓰레기 풍선 도발에 대응해 최전방 지역에서 대북 확성기를 가동하고 있다. 매콜리 부사령관은 9·19 군사합의 파기 후 발생한 사건 중 일부에 대해 정전협정 위반으로 간주해 조사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조사 대상과 결과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 6월 유엔사는 북한군의 군사분계선(MDL) 침범과 한국의 대북 확성기 방송 등 접경지역에서 일어난 사안들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매콜리 부사령관은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해 "열린 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정전협정 유지를 위해

경제.사회

더보기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