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5 (화)

  • 흐림동두천 18.2℃
  • 흐림강릉 21.0℃
  • 서울 18.9℃
  • 흐림대전 18.4℃
  • 대구 19.2℃
  • 흐림울산 21.4℃
  • 박무광주 20.1℃
  • 부산 22.1℃
  • 흐림고창 21.4℃
  • 흐림제주 24.7℃
  • 흐림강화 18.6℃
  • 흐림보은 17.0℃
  • 흐림금산 18.3℃
  • 흐림강진군 21.2℃
  • 흐림경주시 20.1℃
  • 구름많음거제 22.9℃
기상청 제공

사회

'실손보험 있으시죠'…작년 상급종합병원 청구액 5천억원 돌파

 

주)우리신문 이회일 기자 |  상급종합병원에서 과잉 진료의 한 원인으로 꼽히는 실손보험의 보험 청구액이 지난해 5천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집단 사직에 따른 의료 공백 사태가 빚어진 올해 상반기에도 이미 작년의 절반만큼 보험액이 청구됐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미애 의원이 생명보험협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실손보험을 취급하는 보험사 16곳에 대한 지난해 전체 상급종합병원(45곳)의 보험 청구액은 5천233억4천만원으로 5천억원을 돌파했다.

 

전체 상급종합병원의 실손보험 청구액은 2019년(병원 42곳) 3천233억3천만원이었으나 5년 사이 61.9% 급증했다.

 

상급종합병원이 47곳으로 늘어난 올해는 상반기에 2천611억2천만원이 청구돼 지난해의 49.9%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급종합병원 실손보험 청구액 중 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성모병원 등 이른바 '빅5' 병원에서의 청구액(1천870억원)은 전체의 35.7%에 달했다.

 

이들 '빅5' 병원 중 청구액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아산병원으로, 총 521억5천만원에 달했다. 그다음으로는 세브란스병원(430억원), 삼성서울병원(392억원), 서울대병원(269억8천만원), 서울성모병원(256억6천만원)의 순이었다.

 

전체 상급종합병원의 실손보험 청구 건수는 2019년 172만9천758건에서 지난해 236만3천769건으로 36.7% 늘었다.

 

빅5 병원의 지난해 실손보험 청구 건수는 모두 75만4천873건이었다.

 

실손보험은 건강보험의 보완재로 등장했으나 경증 환자가 상급종합병원이나 응급실을 이용해도 비용 부담을 줄여줘 의료전달체계의 왜곡과 비효율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꼽혀왔다.

 

김미애 의원은 "실손보험으로 이른바 '의료 쇼핑'이 벌어졌고, 어차피 보험사가 낼 돈이니까 비싼 치료를 끼워 넣는 병원이 흔해지는 등 도덕적 해이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약 의대 정원 확대로 향후 의사가 늘어난다고 해도 이런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필요한 곳에 의사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며 "정부는 의료개혁 과정에서 관련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실손보험의 보장 범위 합리화, 실손보험 상품의 관리·계약 구조 개선, 보건당국과의 협력 체계 등 전반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날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실손보험 문제점을 알고 있다"며 "금융위원회와 협력해서 개선 방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尹 방문에 회기 하루 비운 싱가포르…대통령실 "한국이었으면?"
주)우리신문 이경흐; 기자 | 싱가포르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문에 따른 일정을 위해 의회 회기 중 8일(현지시간) 하루를 비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윤 대통령의 공식 환영식과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대통령과의 면담이 모두 의회에서 열렸다. 애초에 행사장으로 대통령궁이 검토됐지만, 수리 중이어서 의회를 선택한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싱가포르 의회가 회기 중이어서 굉장히 바쁜데 오늘 일정을 비워뒀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싱가포르 정부, 의회가 한국과 외교를 위해 여야가 국가적으로 협력해서 도와주는 모습을 봤다"며 "만약 우리 국회였더라면 어떻게 했을까 싶기도 했다"고 밝혔다. 여야 대립 속에 국제행사를 주최하던 정부관료들이 국회로 불려들어가는 모습 등을 꼬집은 것으로 보인다. 샨무가라트남 대통령은 윤 대통령과 면담에서 'K-뷰티'를 언급하며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는 우리나라 화장품의 우수성을 칭찬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과거 한국 남편들은 해외 출장을 갔다가 돌아오면 꼭 프랑스나 일본 화장품을 사 오곤 했는데 최근에는 그런 남편이 거의 없다"며 "이미 한국 화장품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사회

더보기
"트리트먼트 제품마다 성능 다르고 가격은 최대 22배 차이"
주)우리신문 서전결 기자 | 손상된 모발 개선을 위한 트리트먼트가 제품마다 성능이 다르고 가격도 최대 2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헤어트리트먼트 10개 제품의 모발 개선 성능과 사용감, 안전성, 환경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10개 제품은 '로레알파리 엘세브 토탈 리페어5 인스턴트 미라클', '모로칸오일 리스토러티브 헤어 마스크', '미쟝센 살롱10 단백질 트리트먼트' 등이다. 모발의 엉킴·보습 개선 성능은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엉킴 개선은 모발을 빗질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양을, 보습은 모발에 함유된 수분량을 각각 확인했다. '케라시스 어드밴스드 리페어 피치로즈 앰플 헤어팩'과 '팬틴 프로-브이 씻어내는 트리트먼트 콜라겐 극손상케어'는 모발의 엉킴과 보습 개선성능이 모두 우수했다. '어노브 딥 데이지 트리트먼트 이엑스'는 엉킴 개선 정도가 우수했고 보습 개선 수준은 양호했다.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사용하고 5점 척도로 사용감 등을 평가한 결과를 보면 '밀크바오밥 세라 트리트먼트 화이트머스크'가 발림성 4.2점, 매끄러움 4.1점, 촉촉함 4.1점, 전반적 만족도 4.0점으로 각 항목에서 가장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