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리신문 임기섭 기자 | 전남 장성 출신 독립운동가 고(故) 김양순(1902년∼?) 선생이 광복 79년 만에 독립유공자로 인정됐다.
23일 국가보훈부와 경남독립운동연구소에 따르면 광주수피아여학교에 재학하다 광주3·1만세운동에 참가한 김양순(당시 17세) 선생이 지난 15일 독립유공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김 선생은 1919년 3월 10일 광주 부동교(광주 남구 사동과 동구 불로동을 연결하는 다리) 아래 모인 사람들에게 태극기를 나눠주며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
1천여명의 군중과 함께 광주천을 따라 만세를 부르며 경찰서 앞까지 행진했다가 일본 헌병과 경찰 등에게 붙잡혔다.
체포된 김 선생은 징역 4개월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이 이러한 사실을 2009년 국가기록원에서 발굴해 서훈을 신청하면서 김 선생에게 대통령 표창이 추서됐다.
일제의 국권침탈에 항거한 공로로 건국훈장이나 건국포장, 대통령 표창을 받으면 독립유공자로 인정된다.
정 소장은 "광복 79주년 만에 김 선생의 공훈을 인정받을 수 있어서 다행이다"며 "독립운동가의 민족애와 위국헌신이 잊히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