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9 (수)

  • 구름조금동두천 20.8℃
  • 구름많음강릉 20.1℃
  • 구름조금서울 21.2℃
  • 구름조금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1.0℃
  • 구름많음울산 20.3℃
  • 구름많음광주 21.5℃
  • 흐림부산 21.2℃
  • 구름많음고창 22.1℃
  • 흐림제주 19.8℃
  • 구름조금강화 19.9℃
  • 구름조금보은 19.0℃
  • 구름많음금산 21.0℃
  • 구름많음강진군 22.1℃
  • 구름많음경주시 21.2℃
  • 구름많음거제 21.2℃
기상청 제공

경제

앤디김 "한일관계 여전히 우려·도전 있어…협력해야 공동번영"

"한미일 협력에 美서도 의구심 있어…중요성 설명하는 데 더 노력해야"
싱크탱크 대담…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11월 선거서 연방상원의원 도전

 

주)우리신문 이주연 기자 | 앤디 김 미국 연방 하원의원(민주·뉴저지)은 윤석열 정부 들어 개선된 한일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공동 이익·번영을 위해 더욱 협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워싱턴DC의 보수성향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케네스 와인스타인 일본 의장과의 대담에서 한일관계에 대해 "지금 상황과 변화의 속도를 보면 상당히 놀랍다"고 말했다.

 

그는 또 수년 전만 해도 양국 관계 경색이 심각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개방성과 협력 수준이 높아졌고, 정부 차원에서 진정한 의지가 느껴진다"라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다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는 아직 더 구축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한일관계에) 여전히 깊은 우려와 도전이 있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고,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걸 알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러면서 "모든 사람을 위해 완벽한 방식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 아니다"며 "공통의 영역을 찾아내고 발전시키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생산적이며, 공동의 이익과 번영은 협력할 때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한일관계 개선을 통한 한미일 3국 협력 강화와 관련, "지난해 6·25 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한국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을 국빈 방문했고, 지난 70년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지만, 앞으로의 70년이 어떤 모습일지, 왜 우리가 한국과 일본, 미국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지 설명하는 데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이게(한미일 협력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묻는다. 트럼프 행정부 때 나온 한미동맹, 한반도에 미군 주둔에 한미가 얼마를 지불할 건지 등의 질문 등을 통해 (그런 의구심을) 명백히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그래서 이 관계(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얘기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영국 옥스퍼드대 국제관계학 박사 학위를 받고서 미 국무부, 국방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일해온 외교·안보 전문가인 김 의원은 지난 6월 뉴저지주 프라이머리에서 민주당 연방 상원의원 후보로 결정돼 한국계 최초로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하고 있다.


정치

더보기
尹 방문에 회기 하루 비운 싱가포르…대통령실 "한국이었으면?"
주)우리신문 이경흐; 기자 | 싱가포르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문에 따른 일정을 위해 의회 회기 중 8일(현지시간) 하루를 비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윤 대통령의 공식 환영식과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대통령과의 면담이 모두 의회에서 열렸다. 애초에 행사장으로 대통령궁이 검토됐지만, 수리 중이어서 의회를 선택한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싱가포르 의회가 회기 중이어서 굉장히 바쁜데 오늘 일정을 비워뒀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싱가포르 정부, 의회가 한국과 외교를 위해 여야가 국가적으로 협력해서 도와주는 모습을 봤다"며 "만약 우리 국회였더라면 어떻게 했을까 싶기도 했다"고 밝혔다. 여야 대립 속에 국제행사를 주최하던 정부관료들이 국회로 불려들어가는 모습 등을 꼬집은 것으로 보인다. 샨무가라트남 대통령은 윤 대통령과 면담에서 'K-뷰티'를 언급하며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는 우리나라 화장품의 우수성을 칭찬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과거 한국 남편들은 해외 출장을 갔다가 돌아오면 꼭 프랑스나 일본 화장품을 사 오곤 했는데 최근에는 그런 남편이 거의 없다"며 "이미 한국 화장품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사회

더보기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