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금)

  • 구름조금동두천 8.8℃
  • 구름많음강릉 12.1℃
  • 구름조금서울 10.5℃
  • 구름조금대전 9.7℃
  • 맑음대구 6.8℃
  • 맑음울산 7.9℃
  • 맑음광주 8.9℃
  • 맑음부산 11.3℃
  • 맑음고창 5.9℃
  • 구름조금제주 13.9℃
  • 맑음강화 8.8℃
  • 흐림보은 8.4℃
  • 맑음금산 7.1℃
  • 맑음강진군 7.1℃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국제

소박한 교황, 장례예식 간소화…삼중관 없애고 목관 하나만

교황, 사후 안장지로 바티칸 아닌 로마 마조레 대성전 지정

 

주)우리신문 이경희 기자 | 평소 검소하고 소박한 삶을 실천해온 프란치스코 교황(87)이 교황의 장례 예식을 대폭 간소화했다.

 

교황청이 20일(현지시간) 발표한 교황 장례 개정 전례서에 따르면 교황은 시신을 안치하는 관의 수를 3개에서 1개로 줄였다.

 

역대 교황의 시신은 장례미사에서 사용한 사이프러스관을 아연으로 만든 관에 넣고, 이를 다시 참나무 관에 넣는 등 삼중으로 밀봉됐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삼중관 입관을 거부하고 아연으로 내부만 덧댄 소박한 목관 하나만을 선택했다.

 

사망 확인 절차인 교황의 선종 확인도 교황이 숨을 거둔 방이 아닌 개인 예배당에서 이뤄지고, 그 즉시 교황의 시신은 관에 안치된다.

 

 

또 다른 변화는 교황의 시신이 관에 안치된 채로 일반인 조문이 이뤄진다는 점이다.

 

전임 교황인 베네딕토 16세의 경우에는 시신을 관에 안치하지 않고 허리 높이의 관대 위에 시신을 비스듬히 눕힌 상태로 일반인 조문이 이뤄졌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그동안 자신의 장례에 대해 "품위 있으면서도 모든 그리스도인처럼 간소화된 예식을 원한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

 

교황전례원장 디에고 라벨리 대주교는 "프란치스코 교황은 장례 예식을 단순화해야 한다고 여러 번 언급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교황은 새로운 장례 규정을 통해 교황의 장례식이 이 세상의 권력자가 아닌 그리스도의 목회자이자 제자의 장례식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책 한권 분량에 달할 정도로 세세한 교황의 장례 예식을 대폭 간소화했다고 전했다.

 

교황은 '가난한 이들의 성자'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길을 따르겠다며 역대 교황 중 누구도 갖지 않았던 그 이름을 선택했다.

 

교황은 그 즉위명처럼 2013년 즉위 후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세상과 교회의 중심으로 이끌기 위해 애썼다.

 

교황은 즉위 이래 역대 교황이 기거한 호화로운 사도궁 관저를 놔두고 교황청 사제들의 기숙사인 산타 마르타의 집에서 살고 있다.

 

그는 카시오 시계를 착용하고 이탈리아 국민차 피아트를 애용하는 등 특권과 권위주의와는 거리를 둬왔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또한 자신의 바람에 따라 사후 바티칸 외부에 안장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교황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사후 이탈리아 로마 시내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묻히고 싶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로마 4대 성전 가운데 하나인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로마에서 성모 마리아에 봉헌된 최초의 성당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해외 사목 방문 전후에 늘 이 성당을 방문해 성모에게 기도하고 은총을 구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을 제외한 전임 교황 265명 중 148명은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치됐다.

나중에 이장된 교황을 제외하면 현재는 총 91명의 교황이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지에 잠들어 있다.

 

역대 교황들은 초기 기독교를 이끈 초대 교황인 예수의 수제자 베드로와 가까이 머물기 위해 그의 무덤이 있는 성 베드로 대성전을 선호한 것으로 전해진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정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는 비오 5세, 식스투스 5세, 클레멘스 13세, 바오로 5세, 클레멘스 9세 등 전임 교황 5명이 안장돼 있다.


정치

더보기

경제.사회

더보기
유인촌, 중국 국제관광교역회 참석…5년만에 한중 관광장관회담
주)우리신문 김기운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유인촌 장관이 중국 정부의 초청으로 오는 23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중국 국제관광교역회(국제여유교역회·CITM)에 참석한다고 21일 밝혔다. 유 장관은 중국 방문을 계기로 오는 23일 중국 문화관광부(문화여유부) 쑨예리 부장(장관)을 만나 코로나19 이후 5년 반 만에 한중 문화·관광장관 회담을 열고 한중 관광과 문화산업 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최근 중국 정부의 한국인 비자 면제 정책이 실시된 만큼 이번 회담에서는 인적교류 확대를 위한 출입국 편의 제고와 안전한 관광환경 조성, 중국 전담여행사 제도 등을 논의한다. 유 장관은 중국에 상호 문화교류를 확대하자는 의견과 한국 콘텐츠 기업이 중국 현지에서 예측할 수 있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활동하게 해달라는 당부도 할 예정이다. 유 장관은 21일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류 콘텐츠 사업 기관 간담회에도 참석해 한중 문화산업 교류 활성화에 대한 현장 의견을 듣는다. 이 자리에는 베이징·상하이 한국문화원장, 한국콘텐츠진흥원 베이징센터장과 방송·게임·엔터테인먼트 기업 등 중국에 진출한 한국 콘텐츠 기업의 해외 법인장들이 참석한다. 유 장관은 이번 국제교역회에 참석하는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