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목)

  • 맑음동두천 7.6℃
  • 흐림강릉 13.5℃
  • 연무서울 9.2℃
  • 맑음대전 9.2℃
  • 맑음대구 13.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8.4℃
  • 맑음부산 10.7℃
  • 맑음고창 8.1℃
  • 맑음제주 11.3℃
  • 맑음강화 6.7℃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2℃
  • 맑음강진군 6.0℃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문화

분청사기·장식기와·도장…10년간 바다서 찾은 '보물' 만나볼까

국립해양유산연구소, 목포전시관 개관 30주년 '10년의 바다' 17일 개막

 

주)우리신문 최정옥 기자 |  최근 10년간 충남 태안, 제주 신창리 해역 등에서 찾은 수중 유물이 한자리에 모인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목포해양유물전시관 개관 30주년을 맞아 이달 17일부터 '10년의 바다, 특별한 발견' 특별전을 연다고 14일 밝혔다.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0년간 수중 발굴 조사 성과를 모은 자리다.

 

통일신라시대 선박으로 추정되는 인천 영흥도선(船)에서 찾은 유물부터 태안 갯벌에서 발견된 조선 왕실의 장식기와까지 총 190여 점을 소개한다.

 

 

전시는 2013년 발굴 조사한 영흥도선을 비추며 시작된다.

 

잠수사가 청자 발 등 유물을 신고하면서 알려진 이 선박은 처음에는 고려시대 선박으로 추정됐으나, 이후 조사를 거쳐 8세기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 배로 확인됐다.

 

선체 안에서 나온 도기 장군, 도기 병, 동제 귀 때 바리(물을 따르는 부분이 달린 동제 용기) 등이 소개된다.

 

연구소 관계자는 "지금까지 바다에서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난파선"이라며 "통일신라시대 사람들의 해상 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해양 유산"이라고 강조했다.

 

 

1983년 해녀들이 금빛 장신구를 발견하며 알려진 제주 신창리 일대 유물도 선보인다.

 

최근까지 3차례에 걸쳐 수중 발굴 조사를 한 결과, 이곳에서는 중국 남송 시대의 주요 도자 생산지에서 만든 청자, 청백자, 백자 등이 잇달아 확인됐다.

 

'근봉'(謹封)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나무 도장, 중국 동전 등의 유물도 눈여겨볼 만하다. 무게가 약

600㎏에 이르는 거대한 중국제 닻돌은 대형선박이 지나가다 침몰했던 사실을 보여주는 유물로 가치가 크다.

 

흔히 '바닷속 경주'로 불리는 태안 해역에서 찾은 수중 유산 또한 흥미롭다.

 

 

조선시대에 운항하다 난파된 것으로 알려진 마도 4호선에서 나온 다양한 목간(木簡·일정한 크기로 깎아 글을 적은 나무 조각), '내섬'(內贍) 글자가 새겨진 분청사기 접시, 도장 등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선박의 목적지로 추정되는 한양 광흥창에서 썼던 인장과 문서, '내섬' 글자가 새겨진 나주목 가마터 출토 유물 등도 함께 선보여 유물을 서로 비교해볼 수 있다.

 

최근 태안 양잠리 조간대에서 발굴한 조선 왕실의 장식기와 '취두'(鷲頭)도 공개한다.

 

전시는 매주 화요일∼일요일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 볼 수 있다. 내년 3월 30일까지.

 

정치

더보기

경제.사회

더보기
전력망 부족해 5조 발전소 놀리는 발전사들, 공정위에 한전 제소키로
우리신문 박영하 기자 | 동해안 지역에서 석탄 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대기업 투자 민간 발전사들이 전력망 건설 지연으로 큰 손실을 보고 있다면서 공정거래위원회에 전력망 건설과 운영을 책임지는 한국전력을 제소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삼성물산이 29% 지분을 보유한 발전사인 강릉에코파워 관계자는 20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잘못이 없는 민간 발전소가 부도나 파산에 이를 정도로 만들면 안 되지 않냐"며 "여러 로펌의 조언을 받고 이 부분을 다퉈볼 만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9% 지분을 가진 삼척블루파워도 법률 검토를 거쳐 공정위에 제소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척블루파워 관계자는 "현재 공정위 제소 움직임은 강릉에코파워가 주도하는 것으로 안다"며 "현시점에서 아직 (공정위 제소 관련) 의사 결정이 이뤄진 것은 없다"고 전했다. 동해안 일대에는 원전과 화력발전소가 집중적으로 들어서 있지만 송전망 건설 속도가 따라가지 못해 수요지인 수도권 등지로 전기를 나를 송전선이 없어 발전소가 가동을 제대로 못 하는 송전 제약 문제가 장기화하고 있다. 원전 8.7GW(기가와트), 석탄 7.4GW 등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 동해안권에는 1

국제

더보기
부분 휴전 수용한 우크라, 美 개입 유도로 활로 모색
우리신문 김영태 기자 | 미국을 중심에 둔 종전 논의 구도에서 좀처럼 주도권을 내주지 않고 있는 러시아에 맞서 우크라이나가 실효성 있는 휴전 관리라는 명분을 내세워 미국의 더 많은 개입을 유도하는 협상 전략을 쓰고 있다. 러시아가 부분적인 휴전안에만 동의한 채 당분간 공세의 고삐를 죌 상황을 타개하려면 강력한 중재국인 미국이 휴전 감독관으로서 확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해 줘야 한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1시간가량 통화하며 부분 휴전안에 찬성한다는 의사를 전했다. 두 정상은 부분 휴전이 완전한 전쟁 종식으로 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교감하면서 각자 고위급 실무 대표단을 꾸려 부분 휴전 및 휴전 확대에 필요한 기술적 문제를 협상하기로 합의했다. 부분 휴전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화 통화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가 30일간 에너지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방안에 합의한 것을 지칭한다. 앞서 미국과 우크라이나 고위 대표단이 추진하기로 한 30일 전면 휴전을 러시아는 그대로 수용하지 않았다. 전황이 유리한 러시아가 기세를 살려 우크라이나의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