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수)

  • 맑음동두천 7.4℃
  • 구름조금강릉 12.2℃
  • 맑음서울 8.4℃
  • 맑음대전 10.5℃
  • 맑음대구 15.6℃
  • 황사울산 18.8℃
  • 황사광주 11.9℃
  • 맑음부산 17.1℃
  • 맑음고창 6.7℃
  • 맑음제주 15.7℃
  • 맑음강화 6.7℃
  • 맑음보은 7.8℃
  • 맑음금산 8.3℃
  • 맑음강진군 13.3℃
  • 맑음경주시 16.7℃
  • 맑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문화

[이런말저런글] '잇딴'이 잘못인 까닭은

 

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 잇딴 참사

- 잇딴 제동

- 잇딴 상향

- 잇딴 누수

- 잇딴 범죄

 

[잇딴]은 잘못입니다. [잇따르는]이나 [잇따른]으로 바로잡습니다. 명사 등 체언을 꾸미는 말을 관형어라고 합니다. 글에서 그런 형태로 쓰이는 것을 관형형이라 하고요. 동사 '잇따르다'를 관형형으로 하면 잇따르는/잇따른이 됩니다. 사건이나 행위가 과거에 발생했거나 말하는 이가 상정한 기준 시점보다 앞서 일어났음이 분명한 데다 그것을 선명하게 표현하려면 [잇따른]을 쓰면 됩니다. 비슷한 동사 [잇달다], [연달다]를 '잇따른'과 같은 관형형으로 하면 [잇단], [연단]이 되겠습니다.

 

[잇따르다]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자동사로만 쓰입니다.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하나는 '움직이는 물체가 다른 물체의 뒤를 이어 따르다'이고 다른 하나는 '어떤 사건이나 행동 따위가 이어 발생하다'입니다. [잇달다]는 자동사로는 [잇따르다]와 의미가 같지만 타동사로는 '일정한 모양이 있는 사물을 다른 사물에 이어서 달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장군은 훈장에 훈장을 잇단(잇달- 어간에 어미 -ㄴ 붙음) 복장으로 등장하였다.> <화물칸을 객차 뒤에 잇달았다.>라는 예문이 보입니다. 둘 다 부사어로 쓰려면 잇따라, 잇달아 하면 되고 '연달다'는 연달아 하면 됩니다.

 

그러나 잇따르다, 잇달다, 연달다 단어는 차이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물이 이어 따르는 경우에는 '잇달다', '연달다'에 비해 '잇따르다'가 자연스럽습니다. '잇따르다' '잇달다' '연달다'의 품사적 성격이 똑같지 않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잇따르는 범죄 사건 하면 자연스럽습니다. 잇다는 또는 연다는 범죄 사건 하면 어색하기 짝이 없습니다. 범죄 사건이 잇따른다 하면 잘 읽히지만 잇단다, 연단다 하면 안 읽힙니다.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하면 눈에 익지만 잇달고 있다, 연달고 있다 하면 낯섭니다. 이들 예에서 보듯 '잇따르다'에 비해 '잇달다' '연달다'는 '-는' '-ㄴ다' '-고 있다' 결합에서 어색함을 보입니다. '잇따르다'는 동사로서 부족함이 없으나 '잇달다' '연달다'는 있습니다. 하지만 둘은 '잇따르다'보다 형용사적 성격이 강합니다.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한글 맞춤법 '잇달다'와 '잇따르다'(임동훈 국립국어연구원) - https://www.korean.go.kr/nkview/news/12/124.htm (두 단어 비교, 자/타동사 의미 등 인용)

2.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잇단', '잇달은' - https://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88719&pageIndex=1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정치

더보기
정부, 日 '왜곡 교과서'에 "유감·시정 촉구"…日총괄공사 초치
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정부는 25일 일본이 역사를 왜곡한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에서 "정부는 일본 정부가 자국 중심의 역사관에 따라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고등학교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시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특히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인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이 담긴 교과서를 일본 정부가 또다시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며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주장도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히는 바"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및 강제징용 관련 강제성을 희석하는 서술 등 왜곡된 역사 내용이 다수 포함된 교과서를 용인한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비판했다. 외교부는 "일본 정부가 스스로 밝혀온 과거사 관련 사죄와 반성의 정신을 진정성있게 실천해 나가기를 촉구한다"면서 "미래지향적인 양국관계는 올바른 역사인식이 토대가 되어야 하는 만큼 일본 정부가 미래 세대의 교육에 있어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상훈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은

경제.사회

더보기

국제

더보기
中왕이 "오염수 2차 분석 문제없으면 日수산물 수입 재개 진전"
우리신문 서전결 기자 |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일본 국회의원 등과 만난 자리에서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개에 진전이 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고 NHK가 관계자를 인용해 2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왕 주임은 전날 도쿄에서 일본의 초당파 의원 모임인 일중(日中)우호의원연맹 모리야마 히로시 회장, 고노 요헤이 전 중의원(하원) 의장 등과 면담했다. 왕 주임은 면담에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올해 2월 국제원자력기구(IAEA) 주도로 진행됐던 2차 오염수 조사의 중국 측 분석 결과가 이른 시일 내에 나온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과에 문제가 없다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개 진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다만 왕 주임은 정확한 수입 재개 시점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은 일본이 2023년 8월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시작하자 대응 조치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양국은 작년 9월 중국이 추가적인 국제 모니터링 등에 참여하고, 이를 통해 일본산 수산물이 안전 기준에 부합한다는 점을 확인할 경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