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0 (일)

  • 맑음동두천 16.6℃
  • 흐림강릉 14.0℃
  • 맑음서울 17.4℃
  • 구름많음대전 15.7℃
  • 흐림대구 15.3℃
  • 흐림울산 15.4℃
  • 구름조금광주 19.9℃
  • 흐림부산 16.8℃
  • 구름많음고창 18.8℃
  • 흐림제주 19.5℃
  • 맑음강화 16.9℃
  • 흐림보은 13.9℃
  • 흐림금산 14.6℃
  • 구름많음강진군 17.6℃
  • 흐림경주시 14.9℃
  • 흐림거제 16.7℃
기상청 제공

국제

[노벨상] 노벨상 선배와 '한솥밥'…예쁜꼬마선충 보고 또 보다 대발견

1993년 발표한 '마이크로 RNA'가 31년 뒤 노벨상 안겨
앰브로스 "연구 발전 지켜보는 것 즐거웠다"…러브컨 "친구와 공동수상 기뻐"

 

주)우리신문 김광명 기자 |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7일(현지시간) 선정된 빅터 앰브로스(70)와 게리 러브컨(72)은 2002년 같은 상을 받은 생물학자 로버트 호비츠의 연구실에서 한솥밥을 먹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들은 1980년대 후반 호비츠의 연구실에서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을 연구했다.

 

이들은 선충 연구를 통해 유기체에서 조직의 발달과 성숙 과정을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두 사람은 다양한 세포들이 적시에 발달하도록 제어하는 유전자에 관심을 두고 예쁜꼬마선충의 lin-4 마이크로RNA와 lin-14 유전자의 관계를 파고들었다.

 

그 결과 앰브로스는 lin-4가 lin-14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발견했고, 러브컨은 그 조절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규명했다.

 

두 사람은 연구 주제에 대해 공조했지만, 실험은 각각 진행했다고 AFP는 전했다.

 

이들의 발견은 1993년 논문 두 편을 통해 발표됐고 2009년 미국 유력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유력 노벨상 후보로 거론하는 등 10여년 전부터 매년 수상자 물망에 올랐다.

 

앰브로스는 1953년 미국 뉴햄프셔주에서 태어나 버몬트주 하트랜드의 낙농가에서 8남매 대가족의 품 안에서 성장했다. 폴란드 출신인 그의 부친은 나치 치하 강제노동 피해자이자, 2차대전 종전 이듬해인 1946년 미국에 정착해 시민권을 얻은 전쟁 난민이었다.

 

앰브로스는 1979년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85년까지 같은 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 과정을 밟았다.

 

그 뒤 같은 해 하버드대 수석 연구원을 거쳐 1992~2007년 다트머스 의대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매사추세츠 의대 교수 자연과학 교수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07년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 회원, 2011년 미국 예술과학아카데미 펠로우로 각각 선출됐다.

 

2002년 유명 과학잡지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된 논문 중 가장 뛰어난 논문에 주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의 '뉴컴 클리블랜드 상'을 받았고, 2016년 이번 노벨상을 함께 받은 러브컨과 나란히 발달 생리학 분야 마치오브다임스상(March of Dimes Prize)을 받는 등 국내외에서 여러 상을 휩쓸었다.

 

195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러브컨은 1982년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1985년까지 MIT 박사 후 연구과정을 밟은 후 하버드대 수석 연구원이 됐다. 현재도 같은 대학 의대 유전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러브컨은 2018년까지 약 150편의 과학 논문을 발표했고, 기초의학연구 래스커재단상(2008년)', 생명 과학 분야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2008년) 등 다수 수상 이력이 있다. 2008년 국립과학아카데미 회원이 됐고, 이듬해 미국 예술과학아카데미 펠로우로 선출됐다.

 

러브컨은 노벨위원회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노벨상을 받을 것이라곤 생각하지 않았고, 우리는 그저 이 분야가 무척 흥미롭다고 여겼을 뿐이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분야가 상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변화를 일으키는 분야라는 느낌이 들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고, 그 과정을 지켜보며 함께 참여하는 일은 무척이나 즐거운 일이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학부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하기 전 1년간 차에서 지내며 미국 오리건주의 산에서 나무를 심고, 뒤이어 남미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면서 "당시는 일직선상의 커리어 패스만 오로지 추구하는 게 당연하게 여겨지는 시대가 아니었다"라고 회상했다.

 

앰브로스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훌륭한 친구와 상을 공유하게 돼 기쁘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그는 자신이 연구한 마이크로RNA에 대해 "우리 몸의 세포들이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전자 간의 소통 네트워크"라고 설명했다.


정치

더보기
與 "北 우크라전 참전 강력 규탄…무모한 행동시 즉각응징 대비"
주)우리신문 김영태 기자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19일 북한이 러시아를 돕기 위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규모 파병을 결정한 것을 두고 "대한민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대한 명백한 위협"이라고 규탄했다. 한 대표는 페이스북에 "북한의 참전으로 북한과 러시아가 확실한 '군사동맹'임이 확인되었다"며 이같이 적었다. 한 대표는 "북한 참전에 대한 러시아의 반대급부로서 핵잠수함 건조,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재진입 기술, 대공미사일 등 핵심 원천기술이 제공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 대표는 이어 "북한의 러시아 파병 동태를 초기부터 면밀히 추적해 온 우리 정부는 우방국과 공조하며 필요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며 "우리 정부의 대응과 조치를 지지하며,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김연주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북한과 러시아가 공조를 넘어 동맹 수준의 군사 협력에 이른 현실은 국제사회뿐 아니라, 우리를 향한 실존적 안보 위협"이라며 "무모한 군사적 행동은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국제사회에서의 고립과 제재를 자초할 뿐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냉정하고 단호

경제.사회

더보기
"글로벌 은행 사칭 '연이율 17%' 채권 투자사기로 43억 피해"
주)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글로벌 은행을 사칭한 사이트의 투자 사기로 최소 120명의 투자자가 40억원 넘게 피해를 봤다며 잇따라 경찰에 신고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연이율 17%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서 해외 국영 석유회사 채권 투자를 유도했다는 것이 투자자들의 주장이다.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19일 투자자들에 따르면 미국의 글로벌 신탁은행을 사칭한 한 사이트에서는 연이율 17.6%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특정 국가의 국영 석유회사의 채권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매월 1일 이자를 지급한다고도 안내한다. 2016년 서울지점을 설립하며 국내에 진출했으나 6년 만에 국내 사업을 철수한 은행인데도 한국어로 가짜 사이트를 만들어 투자자들을 유인한 것이다. 투자자들은 대개 유튜브에서 해당 채권의 수익성이 높다는 영상을 접하고 투자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유튜버들은 이 사칭 사이트를 통한 채권 구매를 유도했는데 관련 유튜브 영상의 조회수는 많게는 100만회가 넘는다. 이들은 유튜브 외에도 '해당 은행이 한국소비자만족도평가 1위를 했으며 해당 채권을 컨설팅하고 있다'는 내용의 소규모 언론사들 기사나 블로그의 수익 인증 글 등을 보고 투자를 하게 된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