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7 (월)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사회

치킨집부터 점집까지…방심위 통신심의 단골은 '불만리뷰'

대부분 '해당없음' 결과…동의 없는 초상 노출은 차단 추세

 

주)우리신문 김희종 기자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통신심의소위원회 심의에서 최근 많이 다뤄지는 주제 중 하나는 '업체 리뷰'다.

 

27일 방심위에 따르면 최근 통신소위에서 다룬 안건들을 보면 치킨집 등 배달 위주 식당과 호텔 등 숙박업소, 동네 병원은 물론 점집까지 불만족한 고객들의 리뷰 때문에 갈등이 빚어진 경우가 다수다.

 

무속인 A씨는 한 고객이 점집 리뷰 카페에 올린 글을 삭제 및 접속 차단해달라고 방심위에 요청했다.

 

해당 고객은 점집에 자주 다니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한 인터넷 카페에 "관재수가 있어 초 기도부터 굿까지 총비용 840만원을 냈는데 1심은 물론 2심에서도 졌다. 심지어 내가 피해자인 사건인데도 피고인 무죄로 결론이 났다"고 리뷰를 올렸다.

 

이에 대해 A씨는 "처음부터 굿이 모든 걸 해결할 수 없다고 했고 강요는 없었다"고 주장했고, 최

초 작성자에 대해 고소도 했으나 증거불충분으로 내사 종결됐다. 방심위 통신소위에서도 삭제나 차단은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치킨집 사장 B씨는 "치킨이 과도하게 익혀져 껍질은 딱딱하고 냄새도 났다"는 배달 앱 리뷰에 대해 삭제 및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

 

해당 상품이 원래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스타일인데, 해당 리뷰로 가게의 명예가 훼손됐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방심위는 리뷰 정보가 전적으로 허위 사실이라고 단정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고, 소비자 후기 특성상 정보 공유 측면이 있다는 근거를 들어 '해당 없음' 결정했다.

 

호텔 업주 C씨는 "화장실에 곰팡이가 있었고 미끄러운 바닥에 넘어져서 인대가 파손됐는데 호텔 측에서는 오히려 찢어진 가운을 보상하려고 했다"며 별점 5점 만점에 1점을 남긴 고객의 리뷰를 지워달라고 요청했다.

 

C씨는 "해당 고객은 몸무게 120kg 정도의 외국인 여성이었는데 가운만 입고 로비에 내려오고, 욕을 하기도 했다"며 "이 리뷰 때문에 매출이 크게 하락했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해당 없음' 결정이 났다.

 

이 밖에도 내과 의사 D씨는 "의사의 입 냄새가 너무 심해 불쾌했다"는 리뷰에 대해 정신적 피해와 매출 감소 타격 등을 사유로 삭제 요청했고, 디자인 프리랜서 E씨는 작업물이 마음에 안 든 고객에게 환불까지 해줬으나 리뷰에 별점 3점을 남겼다고 항의했으나 둘 다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처럼 방심위는 소비자 후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고객의 손을 들어주는 편으로 분석된다.

 

다만 방심위는 소비자 후기 가운데서도 명백한 허위사실이나 명예훼손이 드러나는 악의적인 후기와, 신고인의 초상과 정보 등이 신고인 동의 없이 온라인에 게시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최근 심의 기류를 바꿔 적극적으로 삭제 및 접속 차단 결정을 하고 있다.


정치

더보기
100년 넘게 주인없는 땅 국유화 추진…여의도 188배·2조2천억원 규모
주)우리신문 박영하 기자 | 정부가 실제로 주인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 미등기 토지에 대한 국유화를 추진한다. 해당 토지 규모는 544㎢(63만 필지)로 여의도(2.9㎢)의 약 188배, 국내 토지 면적의 약 1.6%다. 공시지가 기준으로 2조2천억원이 넘는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7일 미등기로 조사된 토지에 대해 진짜 소유자가 나타나면 간단히 등기할 수 있게 하고, 남은 토지는 국가가 관리하도록 하는 특별법(미등기 사정토지 국유화 특별법)을 마련해 법무부를 비롯한 7개 부·처·청에 제도 개선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미등기 사정(査定) 토지는 일제강점기 토지 조사 당시 소유자와 면적·경계가 정해졌으나 소유자의 사망이나 월북 등의 이유로 100년 넘게 등기가 이뤄지지 않은 땅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등기가 아닌 계약만으로도 소유권 이전이 가능했다. 이후 1960년 민법 시행으로 등기가 의무화됐으나 비용 문제 등으로 등기하지 않은 사례도 많았다. 여기에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속자가 누구인지 알기 어렵거나 월북자·사망자가 소유자로 남아있는 경우가 생겼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땅값이 비싼 곳인 서울 중구 명동에도 소유권이 불분명한 미등기 사정토지가 3필지(약 1천41㎡) 있

경제.사회

더보기

국제

더보기
해양 방류 1년여 만에…日후쿠시마 오염수 설비서 부식 잇따라
주)우리신문 고혁규 기자 |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설비에서 부식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2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바닷물을 희석 설비에 보내는 배관과 연결된 공기 빼기용 배관, 해수 유량을 측정하는 배관에서 새롭게 부식이 확인됐다. 배관은 스테인리스제다. 부식은 이음매 12곳에서 발견됐으며, 16㎜ 두께 중 15.5㎜까지 부식이 진행된 곳도 있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금속 접합부에서 일어나는 '틈새 부식'으로 보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으며, 약 한 달 동안 보수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외에 오염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확인용 탱크' 여러 개에서도 바닥이 부식되거나 철판이 얇아지는 현상이 확인돼 도쿄전력이 보수 중이다. 교도통신은 "처리수 해양 방류는 수십 년 동안 이어질 계획인데, 방류 개시 1년 남짓 만에 설비의 부식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도쿄전력은 보수 이후 점검 빈도를 올리는 등 감시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한 뒤 바닷물에 희석해 방류하고 있다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