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리신문 김정숙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동물실험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귀에도 영향을 줘 청력과 균형감각을 떨어뜨리는 것을 처음 확인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 의학연구소 김진수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서울대 의대 이비인후과학 교실 박민현 교수, 중앙대 융합공학부 최종훈 교수 등과 공동으로 미세플라스틱이 내이(內耳)를 손상해 청력 손실과 균형감각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이 귀에 주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일회용품 등에 쓰이는 폴리에틸렌을 실험 쥐에 4개월간 매일 10㎍(마이크로그램)을 먹이고 내이의 청력과 균형감각을 살폈다. 내이 지방을 제거해 투명하게 만드는 기법으로 내이를 구성하는 달팽이관과 전정기관에 폴리에틸렌이 0.144㎍ 축적된 것을 확인했다. 청력 측정시험에서는 정상 쥐는 31.7㏈(데시벨), 폴리에틸렌을 먹은 쥐는 54㏈에 반응해 청력 기능이 떨어진 것을 확인했다. 정상 쥐는 작은 소리가 안 들리는 정도지만, 폴리에틸렌을 먹은 쥐는 보통 소리가 안 들리는 50% 청력손실에 가까운 수준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 쥐를 트레드밀에 태워 운동부하 검사를 진행한 결과 정상 쥐는 평균 515.7초간 안정적으
주)우리신문 이용세 기자 | 해양수산부는 섬에 거주하는 어업인들이 스마트폰으로 원격 진료받을 수 있도록 '비대면 섬 닥터 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18일 밝혔다. 업무협약 대상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HK이노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연안어업인중앙연합회다. 해수부는 전국 100개 섬 1만여명 어업인을 대상으로 오는 8월부터 5개월 동안 원격 진료를 지원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어업인들은 마을 회관에서 원격 진료 전문 업체를 통해 사전 문진·진료·약 처방 및 배송·진료 기록 관리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며 "필요에 따라 병원 방문 진료 예약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주)우리신문 박영하 기자 | 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중 하나가 노화와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험 결과 이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면 늙은 쥐의 건강이 개선되고 수명이 20%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듀크-싱가포르국립대 스튜어트 쿡 교수팀은 18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염증을 매개하는 신호 단백질 중 하나인 'IL-11'의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약물로 억제하는 생쥐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생쥐에서 확인된 IL-11 억제의 건강 효과가 사람에게도 적용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현재 IL-11 억제가 섬유성 폐 질환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초기 단계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염증 유발 단백질인 IL-6 계열의 염증·섬유화 촉진 물질인 IL-11은 그동안 연구에서 노화가 진행될 때 양이 증가하고, 건강·수명과 관련된 신호 경로(ERK, AMPK, mTORC1 등)에 작용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나 생쥐의 노화와 건강수명 등에 미치는 영향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IL-11 신호가 노화가 진행 중인 생쥐의 건강과 수명에 부정적
주)우리신문 김정숙 기자 | 해독 기능이 있는 한약인 자금정(紫金錠)에 마약 중독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구한의대는 이 대학 간질환한약융복합활용연구센터(MRC)와 대구시, 지역 한방병원 및 한약방이 협력해 수년간 연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한의학과 이봉효 교수 연구팀이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메스암페타민(필로폰)을 투여한 뒤 자금정 투여, 침 시술을 시행했다. 그 결과 자금정이 메스암페타민으로 인한 쥐의 흥분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고, 이는 침 치료와 병행했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한의대 관계자는 "마약 중독과 관련해 양약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한의학에 기반한 우수 치료 기술 개발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E)) 국제학술지인 '통합의학연구'(Integrative Medicine Research)에 실릴 예정이다.
주)우리신문 이영식 기자 | 세브란스병원이 선천성 심장병을 앓던 필리핀 소년을 한국으로 초청해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쳤다. 세브란스병원은 태어날 때부터 심장 질환 중 하나인 '팔로 네 증후군'(Tetralogy of Fallot)을 앓던 필리핀의 7세 소년 킴(KIM ABIBG ROSELLO)을 국내로 초청해 치료했다고 16일 밝혔다. 팔로 네 증후군은 심장 내 두 개의 심실 사이의 결손, 심장에서 폐로 연결된 폐동맥이 좁아지는 협착, 대동맥이 심실중격 위로 걸쳐진 대동맥 기승, 우심실 비대와 같은 네 가지 증상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이다. 혈액이 폐로 정상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혈액 내 산소가 부족해 얼굴과 입술이 파래지는 청색증이 생기고, 약간의 활동에도 청색증이 악화할 수 있다. 정상적인 신체 활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심하면 심정지나 뇌 손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킴은 활발히 활동하다가도 쭈그려 앉아 몸을 웅크리곤 했는데, 이는 심장에 혈액을 보내기 위해 본능적으로 했던 행동으로 파악된다. 킴은 필리핀의 열악한 의료환경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료받기 어려웠으나,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심장혈관외과 전문의 출신 선교사 A씨와 인연을 맺
주)우리신문 김정숙 기자 | 방사성의약품 전문기업 퓨처켐은 전립선암 치료제 'FC-705'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개발 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식약처는 적용 대상 환자 수와 적절한 치료 방법 등이 개발되지 않은 질환에 사용되는 의약품 등을 개발 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한다. FC705는 전립선암에만 발현되는 PSMA(전립선 특이 세포막 항원)에 펩타이드와 치료용 동위원소 LU-177을 결합한 방사성 의약품이다. 이번 지정에 따라 FC-705는 품목허가를 위한 식약처 지원 및 수수료 감경 대상이 될 예정이다. 식약처 품목 허가 신청 시 안정성·유효성 심사 자료 일부 면제, 신속 심사 등 혜택을 받아 빠른 신약 출시도 가능할 것으로 회사는 내다봤다. 이 치료제는 현재 국내 임상 2상과 미국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
주)우리신문 전용욱 기자 | 마취제는 어떤 원리로 의식을 잃게 할까? 전신마취에 널리 사용되는 프로포폴이 뇌의 안정성과 흥분성을 조절, 균형을 이루게 하는 '동적 안정성'을 깨뜨려 무의식을 유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얼 K. 밀러 교수팀은 16일 과학 저널 뉴런(Neuron)에서 신경세포(뉴런) 활동을 분석하는 새로운 기술로 프로포폴을 투여할 때 뇌 반응을 분석한 결과 뇌의 안정성과 흥분성 간 정상적 균형이 깨지면서 의식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프로포폴은 뇌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 수용체에 결합해 이 수용체가 있는 뉴런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다른 마취제는 다양한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들 약물이 무의식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프로포폴과 다른 마취제가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 메커니즘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동적 안정성은 뉴런이 새 정보에 반응해 흥분 상태가 되면 빠르게 통제력을 발휘해 뉴런이 지나치게 흥분하는 것을 막아준다. 마취제가 흥분성과 안정성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전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인다. 일
주)우리신문 김정숙 기자 | 술을 마시면 위와 소장을 거쳐 알코올이 혈류로 들어간다. 심장은 펌프질을 통해 알코올을 뇌로 보낸다. 그 결과 긴장이 이완되고, 반사 속도가 떨어지며 쾌락 호르몬으로 익히 알려진 도파민이 분비된다. 쉽게 말해 취하게 된다. 하지만 대가 없는 즐거움은 없는 법이다. 적은 양이라면 바보짓으로 끝날 테지만, 많이 마실 경우에는 호흡곤란, 의식 상실,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만성적으로 섭취하면 뇌의 크기가 줄고, 뇌실(뇌척수액으로 채워진 뇌 안의 빈 곳)이 커지며, 비타민 B1(티아민) 결핍이 생길 수 있다. 티아민 부족은 기억 손상, 착란, 동작 장애를 촉발한다. 술은 자신에게만 해(害)를 끼치는 건 아니다. 자녀에게도 그 피해가 대물림될 수 있다. 특히 임신한 예비 엄마가 태아 발달기에 알코올에 노출되면 아기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에 걸릴 수 있다고 미국 신경과학자 에릭 H.처들러는 강조한다. 그는 신간 '뇌'에서 "알코올은 지용성 분자라서 발달 중인 태아에게 공급되는 엄마의 혈액을 통해 쉽게 태반으로 이동한다"며 "태아가 알코올에 노출되면 신체와 인지 발달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 영향은 평생 갈 수도 있다"고 경고한
주)우리신문 전용욱 기자 | A(59·서울)씨와 B(61·여·인천)씨는 치아 상태가 갈수록 나빠지자 임플란트 치료를 결심하고 주변 치과를 찾기 시작했다. 인터넷과 지인을 통해 여러 방법으로 치과를 알아보고 직접 상담도 받아봤지만, 무엇보다 임플란트 치료에 드는 비용이 천차만별이어서 어느 치과를 선택할지가 이만저만 어려운 게 아니었다. 결국 A씨와 B씨는 나름의 선택으로 임플란트 치료를 받았다. 하지만, 그들의 선택 기준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A씨의 경우 총 10여곳의 치과를 두고 고민한 끝에 가격보다는 임플란트 식립 후 A/S가 지속해서 가능한 곳을 찾아가라는 지인의 권유를 따랐다. 총 3개의 임플란트를 하는데 700만원이 넘는 비용이 들었지만, A씨의 치료 만족도는 지금도 꽤 높은 편이다. 그는 만족도가 높았던 대표적인 이유로 임플란트 식립 후 여러 차례 이뤄진 A/S를 꼽았다. A씨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비용은 아주 값싼 가격을 제시하는 치과보다 2배 이상 많이 들었지만, (치과 의사가) 이식했던 3개의 임플란트 중 하나가 잘못됐다며 무상으로 교체해주는 등 주기적으로 상태를 관찰해주고 있다"면서 "값싼 가격의 치과가 이렇게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현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