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리신문 김경환 기자 |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철학이 그동안 너무나 쉽게 다가왔다면 그것은 누군가 그들의 사유를 납작하게 찍어 눌러 판매하기 쉽게 만든 결과일 것이다."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크리스토퍼 재너웨이의 최근 출간작 '쇼펜하우어가 묻고 니체가 답하다'(21세기북스)는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깊이 있는 철학을 차근차근 배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저자는 두 위대한 철학자의 사상을 비교 분석해 삶의 고통과 의미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쇼펜하우어와 니체는 독일 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상가다. 쇼펜하우어는 삶을 '고통'으로 정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욕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 존재의 근본을 '의지'로 설명하고, 이 의지가 끝없는 욕망을 불러와 필연적으로 고통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니체는 '삶은 고통이다'라는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전혀 다른 결론에 도달했다. 그는 고통을 부정하는 대신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더 강한 존재로 거듭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영원회귀' 사상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 탄생했다.
책은 두 철학자의 사상을 단순 비교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대 사회에서 이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쇼펜하우어가 주장한 '의지' 개념은 현대 소비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끝없는 욕망과 맞닿아 있다. 또 니체의 '초인' 개념은 자기계발 담론과 연결할 수 있다. 저자는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철학이 단순히 학문적 연구 대상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불안과 위기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책은 기존의 철학 도서들이 범하기 쉬운 오류인 철학자의 유명한 문장만을 나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철학을 단편적으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사상이 왜 등장했고 어떤 배경 속에서 형성됐는지를 탐구한다. 철학을 처음 접하는 독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을 풀어서 설명한다.
특히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와 니체의 실천적 철학을 단순히 대립적인 개념으로 다루지 않는다. 오히려 두 철학자가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서로를 보완하는 측면이 있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쇼펜하우어가 인간의 욕망과 고통을 냉철하게 분석했다면, 니체는 이러한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고민했다. 저자는 이런 분석을 통해 철학이 단순히 비관적이거나 낙관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하고 사유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이시은 옮김. 46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