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리신문 이주연 기자 |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이다. 2012년 1.3이었던 합계출산율은 10년 만인 2022년 0.78로 떨어졌다. 2024년에는 0.7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점쳐진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말한다.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사교육도 무시 못 할 요소 중 하나다. 사교육을 하지 않는 가정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인 데다가 그 씀씀이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통계청 초중고사교육비조사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초중고 학생 중 79%가 사교육에 참여했다. 다섯 명 중 네 명이 사교육을 받은 셈이다.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도 27조원에 달했다. 2015년 약 18조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8년 만에 50% 남짓 증가한 수치다.
반면 초중고 학생 수는 같은 기간 609만명에서 521만명으로 15%가량 줄었다. 학령인구 감소로 학생 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음에도 사교육 시장 규모는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 2017년 38만원이었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불과 6년 만에 45%가량 늘었다. 4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에서 초중고 자녀 2명의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7년 20%에서 2023년 24%까지 증가했다.
소득이 올라갈수록 사교육비에 투입하는 비용도 늘었다. 2023년 통계를 기준으로 월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가구의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은 300만원 미만인 가구의 3.7 배에 달했다.
지역별로 보면 사교육비를 가장 많이 쓰는 곳은 서울이다.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지출이 2023년 기준으로 월 74만원이다. '교육 특구' 대치동 일대는 그중에서도 가장 많다.
강남구 도곡동과 역삼동 지역의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2019년 자료(2019 강남구 사회조사 및 사회지표)를 기준으로 월 140만원가량이다. 2019년에서 2023년 사이에 서
울지역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32% 늘었으므로 이 증가율을 그대로 적용하면, 2023년 도곡동·
역삼동의 1인당 사교육비는 월 185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만약 초중고 12년간 이 지역에서 사교육을 받는다면 약 2억7천만원을 쓰는 셈이다. 이는 제주도에 있는 전용면적 71㎡(약 21평) 크기의 아파트를 사거나 109㎡(약 33평) 크기의 아파트 전세를 얻을 수 있는 금액이다.
신간 '교육의 수익률을 높여라'의 저자인 박경인·권준모 씨는 "만일 유치원 3년, 재수 1년 등 사교육을 받는 기간이 4년 더 길어지고 이 기간에도 초중고 때만큼 사교육비를 쓴다면 (도곡동·역삼동에 거주하는 학부모가) 16년간 지출하는 사교육비 총액은 3억5천만원에 달한다"고 말한다.
강남구 도곡동과 역삼동 지역의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2019년 자료(2019 강남구 사회조사 및 사회지표)를 기준으로 월 140만원가량이다. 2019년에서 2023년 사이에 서울지역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32% 늘었으므로 이 증가율을 그대로 적용하면, 2023년 도곡동·역삼동의 1인당 사교육비는 월 185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만약 초중고 12년간 이 지역에서 사교육을 받는다면 약 2억7천만원을 쓰는 셈이다. 이는 제주도에 있는 전용면적 71㎡(약 21평) 크기의 아파트를 사거나 109㎡(약 33평) 크기의 아파트 전세를 얻을 수 있는 금액이다.
신간 '교육의 수익률을 높여라'의 저자인 박경인·권준모 씨는 "만일 유치원 3년, 재수 1년 등 사교육을 받는 기간이 4년 더 길어지고 이 기간에도 초중고 때만큼 사교육비를 쓴다면 (도곡동·역삼동에 거주하는 학부모가) 16년간 지출하는 사교육비 총액은 3억5천만원에 달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