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2 (일)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사회

[과학] 5조 매출 6년만에 10조…네이버 초고속 성장 뒤엔 신사업

2024년 매출 신사업 비중 60% 넘을 전망…창업 25년만에 '10조 클럽'
'온서비스 AI' 전략 통해 글로벌 사업 박차…영업이익률 18% 견조

 

주)우리신문 이성제 기자 |  연매출 10조원 돌파를 앞둔 네이버가 신사업 확장을 동력 삼아 초고속 성장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의 지난해 전체 매출에서 서치 플랫폼을 제외한 커머스 등 신사업 부문 매출이 전체의 60%를 넘어설 전망이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에 따르면 네이버의 지난해 전체 매출은 1조6천502억원으로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연 매출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기준 네이버 전체 매출에서 신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소 6조원을 넘어섰다는 의미다.

 

네이버는 지난 2021년 2분기를 기점으로 신사업 부문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긴 바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는 전체 매출 2조7천156억원 가운데 63%에 해당하는 1조7천179억원이 신사업 매출이었다.

 

네이버는 2020년 3분기부터 사업 부문을 ▲ 서치플랫폼 ▲ 커머스 ▲ 핀테크 ▲ 콘텐츠 ▲ 클라우드 등 다섯 부문으로 나누고 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는 광고, 비즈니스플랫폼, IT플랫폼, 콘텐츠서비스, LINE 및 기타 플랫폼으로 사업 부문을 구분했는데, 커머스와 핀테크, 콘텐츠 등 신사업 부문에 본격적인 드라이브를 걸며 사업 부문을 재구성한 것이다.

 

네이버는 2018년 처음으로 매출 5조원을 넘겼고, 이후 신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하며 6년만에 '매출 10조원' 클럽에 이름을 올리게 된 셈이다.

 

네이버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면 서치플랫폼을 제외한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등 4개 부문이 모두 신사업 영역에 해당한다.

 

네이버는 플랫폼 사업의 핵심축에 인공지능(AI)을 놓고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 개발에 주력하는 한편 커머스를 중심으로 사업다각화를 모색하며 고른 성장을 모색해 왔다.

 

이 결과 지난해 연간으로 서치플랫폼 매출 기준 전년 대비 11.0%, 커머스 12.0%, 핀테크 13.0%, 콘텐츠 6.4%, 클라우드 17.0% 등 고른 성장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네이버는 그간 매출의 25% 이상을 꾸준히 미래 먹거리에 투자하는 선제적인 연구개발(R&D)을 진행해 왔다.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집행한 R&D 투자만 16조원에 달한다.

 

올해는 1분기 내에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 기능에 적용한 'AI 브리핑'을 순차적으로 선보이고 커머스 분야를 독립시켜 별도 앱인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로 출시하며 사업 확장에 한층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 2023년 사우디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한 것을 시작으로 해외 사업에서도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올해는 검색을 비롯해 광고, 쇼핑, 플레이스 등 서비스 전반에 AI를 접목하는 '온 서비스 AI' 전략을 통해 본격적으로 글로벌 사업 외연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네이버가 연 매출 10조원을 달성하면 창업 25년 이내에 매출 10조를 넘어서는 8번째 기업으로 기록되게 된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005930](25년), SK텔레콤[017670](19년), SK하이닉스[000660](17년), KT[030200](17년), LG유플러스[032640](16년), 현대글로비스[086280](11년), 쿠팡(10년) 등이 창업 25년 내에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네이버는 2008년 인터넷 플랫폼 및 벤처기업 중 최초로 연 매출 1조원을 달성한 뒤 2011년(2조), 2015년(3조), 2016년(4조), 2018년(5조) 등 고속 성장을 이어왔다.

 

영업이익률 역시 견조해 2023년의 경우 15.4%의 이익률을 보였고, 지난해는 약 18%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제조업 중심의 통상적 대기업들의 평균 이익률이 5~8%에 불과하고, 대부분 금융사가 10%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정치

더보기
與, 민생·정책행보 시동…'집토끼' 붙들고 중도층 공략 시도
주)우리신문 류석태 기자 | 국민의힘이 이번 달 민생·정책행보를 본격화한다. 집권 여당으로서 대통령·국무총리·장관들의 연쇄 직무 정지에 따른 국정 공백 장기화를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전제 조건인 '조기 대선'에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되,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승패의 열쇠를 쥔 중도층의 '정책 표심'을 공략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오는 4일 경제 부처, 7일 비경제 부처와 민생대책을 점검하는 당정협의회를 연다. 각 부처 차관과 기획조정실장이 참석한다. 당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정부 최고위급 실무자들을 한 자리에 부르는 것은 전례가 없던 일"이라며 "일종의 업무보고로,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도 정부·여당은 민생을 챙기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 당 지도부는 인공지능(AI)특위·경제활력민생특위와 함께 오는 5일 경기 평택고덕변전소를 방문, AI 시대에 필수적인 전력망 확충을 위한 간담회를 연다. 최근 잇따른 항공기 사고와 관련해 안전 점검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탄핵 정국'으로 행정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비상시국을 맞아 여당이 전면에 나서 국정 전반과 민생 현안을 챙기겠다

경제.사회

더보기
[차이나 역습]③ "기술전쟁 본격 대비를…'국가 전략 AI' 신발끈 묶을 때"
주)우리신문 최정옥 기자 | 중국의 기술 굴기 시계가 빨라지며 우리나라에 남은 시간이 그리 길지 않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다행히 딥시크발 인공지능(AI) 혁신을 통해 국가 미래를 좌우할 첨단 기술 확보를 포기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점이 증명되면서 국내 당국·업계가 AI 전쟁에서 결의를 다시 다지고 '호랑이 등'에 올라타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멀게만 느껴졌던 '소버린 AI' 개발…"딥시크가 힌트 줬다" 2일 AI 업계의 반응을 종합하면 지난 설 연휴 이른바 '딥시크 충격'이 강타하기 전 국내 AI 개발업계의 분위기는 패배 의식에 빠져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AI 모델·서비스의 성패가 투자를 감행한 컴퓨팅 파워의 양에 절대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인식되던 때여서, 하루가 다르게 천문학적 자본금 투자를 발표하는 미국 빅테크에 비교하면 국내 AI 투자 규모는 초라하기 그지없어 보였다. 컴퓨팅 파워를 좌우하는 고사양 그래픽처리장치(GPU)의 국내 보유 개수가 2천개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당국이 향후 수년간 최대 2조5천억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같은 날 미국이 발표한 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의 규모는 300배에 달하는 718

국제

더보기
[특파원시선] '추방 위험' 이민가정 아이들에게 배포된 '빨간 카드'
주)우리신문 박형욱 기자 | 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 통합교육구의 다네이카 왓슨 교육감은 학부모들과 소통하는 온라인 사이트에 "이민자 학생과 가족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올렸다. 왓슨 교육감은 "연방 정책의 최근 변화는 이민을 단속하는 공권력이 학교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했다"며 "하지만 모든 학생은 자신의 이민자 지위에 상관없이 학교에 가서 배우고 안전하게 느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학교들은 모든 학생과 가족, 교직원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한다"며 "우리 교육구는 학생이나 가족의 이민자 지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노출하지 않고 비밀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왓슨 교육감은 기자의 아이가 다니는 학교를 포함해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 내 글렌데일 지역의 공교육을 총괄하는 관리자다. 기자는 미 정부가 외국 언론사 특파원에게 발급하는 비자를 받고 체류 중이어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단속 대상이 아니지만, 교육감의 이런 메시지는 묘한 안도감을 줬다. 무장한 이민세관단속국(ICE) 단속 대원들이 초등학교에까지 들어와 어린아이들을 잡아가는 모습은 보고 싶지 않아서다. 그런 장면을 눈앞에서 보게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