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3 (목)

  • 맑음동두천 -0.1℃
  • 맑음강릉 5.9℃
  • 맑음서울 1.8℃
  • 연무대전 3.9℃
  • 연무대구 4.9℃
  • 연무울산 7.8℃
  • 연무광주 6.0℃
  • 흐림부산 8.6℃
  • 구름많음고창 2.0℃
  • 구름조금제주 7.9℃
  • 맑음강화 0.4℃
  • 구름많음보은 0.8℃
  • 맑음금산 0.8℃
  • 구름많음강진군 4.4℃
  • 흐림경주시 2.2℃
  • 구름많음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치

與, 尹 지지자 난동에 "폭력 안돼…경찰 과잉대응은 규명해야"

"합법적으로 의견 전개해야…이를 뛰어넘는 증오는 대통령에게 짐돼"
"시위대에 일방적 책임 묻기 어려워"…일각서 법률 지원 주장도

 

주)우리신문 김기운 기자 | 국민의힘은 19일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에 일부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서 폭력 난동을 벌인 데 대해 "폭력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긴급 비대위 회의에서 "더 이상 물리적 폭력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국민의힘은 모든 폭력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지지자들의 이번 폭동 사태엔 사법부 권위를 인정하지 않은 국민의힘 영향도 없지 않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며 "사법부의 권위를 존중하고, 일부 시위대의 그런 행동은 당연히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합법의 테두리 안에서 우리의 의견을 전개해야 더 많은 시민의 공감을 얻고 제도 개선을 이룰 수 있다"며 "무엇보다 이를 뛰어넘는 증오는 대통령에게 너무 무거운 짐일 것이다. 무슨 일이 있어도 폭력만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지금의 역사가 비통할 뿐"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자유민주주의, 법치주의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본다. 어떤 경우에도 어떤 형태로도 폭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지도부는 경찰의 대응도 동시에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어제 현장은 폭력의 책임을 시위대에 일방적으로 물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경찰이 시민을 내동댕이치고 카메라가 장착된 삼각대를 발로 차고 바리케이드를 쳐서 폭력을 막으려는 시민을 방패로 내리찍고 명찰 없는 경찰이 다수 나선 모습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민주노총 등 다른 불법집회에서 볼 수 없던 경찰의 과잉 대응 폭력 행위에 대해 신속하고 충분하게 진상을 규명하라"고 촉구했다.

 

당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에 연루된 지지자들에 대한 법률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민수 전 대변인은 페이스북에서 "국민의힘 당협위원장 중 변호사 지위를 가진 분들과 자유 우파 변호사들에게 요청한다"며 "청년들을 위한 변호인단을 꾸릴 수 있게 도움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체포된 지지자들에 대한 법률 지원을 검토하는지에 대해 "공수처가 서부지법에 영장을 청구해 대통령이 구속된 것과 오늘 새벽의 상황이 전혀 무관할 수 없기 때문에 (상황을) 좀 보겠다"고 말했다.

 

윤상현 의원은 전날 서부지법 앞에서 일부 시위대가 법원 담을 넘다 경찰에 체포된 것과 관련, "17명의 젊은이가 담장을 넘다가 유치장에 있다고 해서 (경찰) 관계자와 얘기했고 아마 곧 훈방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이 지지자들의 법원 습격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야권을 중심으로 나오자, 윤 의원 측은 입장문을 내고 "18일 밤 현장에서 경찰에 연행된 학생들에 대한 발언이고, 이후 발생한 기물 파손과 침입 사건에 대해 언급한 것이 아니다"라며 "윤 의원은 어떤 경우에도 폭력 사태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기자들에게 "윤 의원이 폭력을 행사한 사람까지 옹호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면서 당 차원의 조치에 대해 "아직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윤 대통령 21일 탄핵심판 직접 출석…역대 대통령 처음
주)우리신문 김정숙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열리는 탄핵심판 변론에 직접 출석한다.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내일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 출석한다"고 20일 밝혔다. 탄핵소추된 대통령이 현재 심판정에 직접 출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등 종전에 탄핵소추된 대통령은 한 차례도 출석한 적이 없다. 헌재는 21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을 연다. 당초 이날 국회 측에서 제출한 폐쇄회로(CC)TV 영상 등 증거를 조사할 예정이었으나 윤 대통령이 출석하면 12·3 비상계엄의 전모에 관해 직접 진술을 들을 가능성이 크다. 윤 대통령은 이른바 '부정선거론'과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줄 탄핵' 등 비상계엄을 선포하게 된 배경에 관해 헌재 재판관들에게 직접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체포·구속되기 전인 지난 14일 열린 1차 변론에는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시도로 안전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불출석했다. 공수처에 체포된 다음날 열린 16일 2차 변론에는 전날 오전 체포됐다는 등의 이유로 출석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같은 날 오후 5시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체포적부심사에도 불출석했다. 윤 대통령이 출석할

경제.사회

더보기

국제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