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신문 박현정 기자 | 일제강점기 강제로 동원됐던 피해 생존자가 해마다 급격히 줄고 있다. 피해자들은 고령에 접어들었지만, 정부 지원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 기준 정부로부터 의료지원금을 받는 강제 동원 피해 생존자는 640명(남성 574명·여성 66명)으로 집계됐다. 행안부는 2008년부터 ‘대일항쟁기 강제 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 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강제동원조사법 시행령)에 따라 생존자에게 연 80만원의 의료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 지원금 수급자를 기준으로 생존 피해자 수를 추산한다.
강제 동원 피해 생존자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2015년 9,938명이었던 수급자는 2023년 1,264명으로 줄었고, 올해는 640명까지 떨어졌다. 2020년 3,140명, 2021년 2,400명, 2022년 1,815명 등으로 매년 500~1,000명씩 감소하는 추세다. 현재 수급자 중 최연소자는 86세, 최고령자는 109세이며, 100세 이상 초고령자는 172명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경기 119명, 서울·전북 70명씩, 충남 59명, 경남 56명, 전남 55명, 경북 48명, 부산 30명, 인천 25명, 충북 23명, 광주 22명, 강원 21명, 대구 20명, 대전 14명, 세종·울산 각 3명, 제주 2명이다.
이 가운데 여성 생존자는 작년 83명에서 올해 17명으로 줄었다. 제주도와 세종시엔 여성 생존자가 없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관계자는 "일제로부터 광복 80년을 맞은 것을 감안하면 피해 생존자가 급감하는 건 예상됐던 것"이라며 "현재 생존자라고 하더라도 100세 안팎에 이르러 향후 몇 년 안에 피해자가 단 1명도 남아 있지 않은 상황을 맞을 것"이라고 전했다.
징용 피해자 지원단체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 이사장은 "매년 80만원의 의료지원금은 과거 피해 정도에 비하면 너무 적다"며 "여전히 사죄하지 않는 일본과 광복 80년에 이르는 올해까지 이를 방치한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일본의 역사 부정과 왜곡이 날로 노골화하고 있다"며 "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강제 동원 피해 조사 작업, 기록물 수집, 역사관 건립, 추모 공간 조성 등 역사적 진실이 다음 세대에 전승하기 위한 다각적 계승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